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그녀는 말했었다. 자신의 작업실은 “불꽃이 타는 곳”이라고. 타인의 고통을 섬세하게 어루만졌던 한강 작가의 그 불꽃이, 이번엔 전국의 창작자들에게로 옮겨 붙는다.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G.MAP)과 부산 영화의전당이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1주년을 기념하며 공동 주최하는 영상 공모전 ‘불꽃이 타는 곳’이 문을 열었다. 이 공모전은 미디어아트, 단편영화, 실험영화, 애니메이션 등 장르의 경계를 허물고, 예술가가 창작에 몰입하는 그 ‘순간의 불꽃’을 영상으로 담아내길 바란다.
단 하나의 조건이 있다면, 형식은 반드시 ‘영상’일 것. 그 외엔 그 어떤 규범도 없다. 장르, 형식, 러닝타임 모두 자유롭다. 심지어 주제도 열려 있다. 오직 한 가지, 진짜 불꽃이 느껴지는가, 그 감정만이 심사기준이 된다.
공모는 10월 17일부터 11월 21일 오후 6시까지 진행되며, 최종 선정작 3편에는 총 3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수상작은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외벽 파사드, 광주송정역 유네스코 창의벨트, 그리고 부산 영화의전당 야외극장에서 동시 상영된다.
단지 스크린에 비춰지는 것을 넘어서, 관객과 거리의 풍경 속에 녹아드는 새로운 형식의 시도다. 당선된 창작자들은 상영회와 개막식에도 초청되어 시민들과 직접 호흡하게 된다.
심사는 1차 서류심사와 2차 전문가 심사를 거쳐, 12월 초 최종 결과가 발표될 예정. 참가 희망자는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홈페이지 또는 부산 영화의전당 홈페이지에서신청서를 내려받아 이메일 또는 우편으로 접수하면 된다.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은 이번 공모전을 계기로 융합 창작 생태계의 씨앗을 틔우고, 창의도시로서의 문화정책을 선도하는 거점이 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G.MAP 김허경 센터장은 “이번 협력 공모전은 유네스코 창의도시 간 교류와 동서문화 협력의 새로운 장이 될 것”이라며 “한강 작가의 예술혼을 이어받은 참신한 영상 작품들이 많이 나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