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한정완 기자 | 광주광역시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일부 후보들이 여론조사에 불참하거나 보이콧을 예고한 가운데, 김용태 전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이 “시민의 판단을 두려워한 비겁한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김 전 학교장은 29일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일부 후보들이 제 경력을 문제 삼아 언론사의 여론조사를 보이콧하며 시민의 알권리를 침해하고 있다”며 “이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인 공정한 정보 제공과 시민의 선택권을 부정하는 심각한 행위”라고 주장했다.
그는 “여론조사는 자신에게 유리할 때만 이용하고 불리할 때는 상대 후보의 경력을 정치인을 넣는다는 이유로 방해해서는 안 된다”며 “이런 행태는 정당성을 인정받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김 전 학교장은 자신의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 경력은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종교육감 출마 당시 최교진 장관도 노무현재단 지역위원회 공동대표 경력을 사용했지만 문제되지 않았다”며 “현직 이정선 교육감이 과거 대선주자 관련 경력을 사용했던 점을 고려하면 이번 보이콧은 내로남불의 극치”라고 꼬집었다.
이어 “시민의 지지를 받지 못한 책임을 반성하기보다 타 후보의 경력을 문제 삼으며 여론조사를 막는 것은 옹졸한 처사”라며 “이런 사례는 전국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오직 광주에서만 벌어지는 황당한 일”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 전 학교장은 “후보자의 경력은 그 사람의 철학과 삶의 궤적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시민이 판단할 문제를 정치적 계산으로 가로막는 것은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시민의 판단을 신뢰하고 당당히 선거에 임하는 것이 성숙한 민주주의”라며 “어떠한 압박 속에서도 시민의 알권리를 지켜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