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는 여러 실수를 한다. 땅볼 샷도 그 중 하나다. 샷을 하긴 했는데 공이 통통구르다 얼마 못가 멈추고 만다. 친 사람도 민망하고 보는 사람도 안타깝다. 땅볼 샷이나 토핑 모두 초보자들에게는 흔히 나오는 실수다. 그만큼 아직 샷을 하는데 익숙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세가 일정하지 못하다는 얘기다.

임팩트 때 정확하게 공을 쳐야 이런 실수가 나오지 않는다. 헤드 페이스의 스위트 스폿(Sweet spot)에 공을 맞춰야 하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생긴다. 초보자는 샷을 할 때 흔히 고개를 들지 말라는 조언을 자주 듣는다. 그래서 헤드업(Head up)에만 너무 신경써 뚫어져라 공만 보게 되면 자세가 경직되기 쉽다. 골프 스윙은 유연해야 한다. 몸이 뻣뻣하게 굳어 있으면 절대 좋은 스윙을 할 수가 없다. 리듬이 깨진다. 리듬이 깨진 상태에선 공이 제대로 맞지도 않고 거리도 나지 않는다.
유연하고 부드럽게 스윙할 수 있다면 이미 초보자는 아니다. 초보자가 유연하고 부드럽게 스윙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땅볼 샷이 나오는 것은 임팩트 때 공의 윗부분을 때리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공이 탄도가 제대로 나오지 않고 거리도 나지 않는다.

이럴 땐 상체각을 유지해야 한다. 어드레스를 취하고 스윙을 시작해 임팩트에 이르는 과정에서 상체각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무너지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상체각이 잘 유지될 수 있을까?
가장신경 써야할 동작은 히프(Hip) 라인을 유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히프 라인은 어드레스에서 엉덩이 제일 끝 부분과 만나는 라인을 말한다. 아마추어 골퍼들이 이 라인을 유지하지 못해 이른 배치기(얼리 익스텐션)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다운스윙에서 히프가 앞쪽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약간은 의자에 앉는 느낌으로 자세를 연습해야 한다.
앉는 느낌이 어렵다면 히프 뒤쪽에 의자같은 물체를 두고 스윙 연습을 하는데 히프가 의자에서 떨어지지 않게 스윙을 해주면 된다. 의자가 없다면 벽앞에 서서 어드레스를 취하고 히프가 벽에서 떨어지지 않게 연습을 해주면 된다. 스윙의 100%를 하기보다는 50% 아래 로 힘을 빼고 스윙 연습을 해줘야 히프가 놀라면서 앞쪽으로 나가는 동작을 좀 더 뒤쪽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연습을 하다보면 과연 좋아질까라는 생각을 할 수 있는데 무조건 좋아진다고 얘기할 수 있다. 실제 투어 선수들이 가장 많이 신경쓰는 동작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히프 라 인 연습으로 일관성 있게 정타를 맞춰보기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