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한정완 기자 | 6천억 원 규모의 광주 AI 2단계 사업을 두고 “겉만 번지르르할 뿐, 정작 지역엔 남는 것이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시의회에서 터져 나왔다.
핵심 연구개발(R&D) 예산이 전국으로 흩어질 가능성이 커, 광주가 ‘플랫폼만 깔아주는 도시’로 전락할 수 있다는 문제 제기다.
박수기 광주시의원은 지난 7일 열린 인공지능산업실 행정사무감사에서 “6천억짜리 사업을 진행하면서 광주에 확정적으로 남을 수 있는 국비가 306억 원 수준이라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고 도마에 올렸다. 지방비만 1,476억 원 투입되는 상황에서, 지역 기업과 생태계에 돌아올 실익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특히 논란의 중심은 4천억 원대 R&D 예산이다. 전국 공모 방식으로 설계돼 있어, 1단계 사업 때처럼 예산이 전국으로 흩어지고 광주 기업의 참여율이 낮아질 수 있다는 점이 핵심 문제로 지적됐다.
박 의원은 “전북은 실증센터 4개, 대구는 연구소 3곳을 지역에 박아두는 방식으로 예산과 성과를 지역에 묶어냈다”며 “광주는 실증 의무조항조차 없어, 기업들이 잠깐 들렀다 가는 ‘테스트장 제공 도시’가 될 판”이라고 꼬집었다.
AI 산업은 기술 개발 자체보다 실제 현장에서 데이터를 검증하고 레퍼런스를 확보하는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2단계 설계는 ‘개발 중심’이다 보니, 1단계에서 어렵게 구축한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등 실증 인프라가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사장될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나왔다.
추진 과정의 매끄러움도 도마에 올랐다. 인공지능융합사업단이 지난 9월 조직개편안을 이사회에서 통과시켰지만, 전문가 의견 수렴도, 시의회와의 논의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50명 규모 조직에 3본부 체제가 효율적인지 자체가 의문”이라는 지적도 뒤따랐다.
박수기 의원은 “2단계는 광주 기업들이 실증을 하고 레퍼런스를 쌓는 ‘기회의 땅’이어야 한다”며 “지금 설계대로라면 광주는 1,500억 원 가까운 지방비만 부담하고, 6천억 R&D 플랫폼은 전국에 헌납하는 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적정성 검토 단계에서 구조를 바로잡아야 하며, 사업제안요청서(RFP)에 ‘광주 실증 의무화’와 ‘지역 기업 쿼터’ 명문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