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시가 민선8기 공약을 다시 책상 위에 펼쳐놓고 시민의 눈으로 하나하나 들여다보는 과정을 시작했다.
50명의 시민배심원이 조정권을 갖고 공약의 실행 가능성과 현장 체감 정도를 직접 검토하면서, 행정과 시민이 같은 방향을 바라보도록 맞추는 절차가 본격화됐다.
광주광역시는 27일 일가정양립지원본부 다목적실에서 시민배심원 50명을 위촉하고 ‘2025년 제1차 시민배심원단 회의’를 열었다.
배심원단은 자동응답시스템(ARS) 무작위 추첨과 전화면접을 거쳐 선발됐고, 성별·연령·거주지 구성까지 고려해 대표성을 확보했다.
배심원단은 지역이 체감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어떤 공약을 어떻게 손봐야 하는지’를 살펴본다.
공약 설계 당시의 환경과 현재의 행정 여건을 비교하고, 정책이 실제 현장에서 얼마나 힘을 발휘할 수 있는지 따져보는 역할이다.
이날 첫 회의에서는 강기정 시장이 배심원들에게 위촉장을 전달했고, 이어 배심원 활동 방식과 역할에 대한 교육, 분임 구성, 안건 배분이 이뤄졌다.
분임별로 배정된 공약을 검토하며 조정 필요성을 판단하는 작업이 곧 진행된다.
다음 절차는 12월 9일 열리는 2차 회의로 이어진다. 각 부서가 공약 조정 사유를 직접 설명하고, 배심원단은 심층 토의를 통해 논점을 정리한다.
이어 12월 16일 3차 회의에서는 전체 투표로 조정안을 확정하며, 이 과정에서 시민의 판단이 실제 행정 조정으로 연결된다.
광주시는 시민배심원단이 만든 조정안을 시 누리집에 공개하고 시정 운영에 담을 예정이다.
강기정 시장은 “시민과 함께 공약을 다시 읽고 보완하는 절차는 행정의 책임감을 더 단단하게 만드는 과정”이라며 “배심원단의 판단을 시정 운영에 성실히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