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이수준 기자 | 두세훈 도의원(완주2ㆍ더불어민주당)은 전주~김천간 철도사업이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사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반영된 가운데, 내년에 반드시 사전타당성조사가 추진되고, 타당성이 인정되는 노선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전라북도와 경상북도, 영ㆍ호남 정치권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5일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서 24개 추가검토 사업 중 이례적으로 전주~김천 철도사업에 대해 “사전타당성조사 등을 통해 타당성이 확보되는 대안노선이 있는지를 추가검토하고, 타당성이 인정되는 노선이 있는 경우 사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전주~김천 철도,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 산업선 등 전라북도가 독자적으로 건의한 6개 사업이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되지 않아 전라북도와 정치권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았던 게 사실이다.
그런데 이번 국토부 고시를 통해 전주~김천 철도사업도 본 사업과 동일하게 사전타당성조사를 받게 돼 사업 추진 가능성이 열린만큼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게 두 의원의 설명이다.
따라서 두 의원은 “먼저 전라북도와 경상북도, 영ㆍ호남 정치권이 지금부터 예산당국에 지속적으로 요구해 2022년 본예산에 5억원 가량의 사전타당성조사 용역비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두 의원은 “내년 국토부 사전타당성조사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전주~김천 철도사업에 대한 경제성ㆍ환경성ㆍ지역균형발전 분석 등의 사전타당성조사 항목을 철저히 분석해 국토부 용역 시행 시 유리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철저한 사전대응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전주~김천 간 철도는 궁극적으로 새만금부터 부산에 이르는 동서화합철도이며, 나아가 영호남 간 물류ㆍ경제ㆍ문화ㆍ관광 교류를 통해 동서 간 균형발전의 초석을 놓는 균형발전철도라는 것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고, 둘째 “전라북도와 경상북도의 긴밀한 협치를 통해 폭넓은 문화ㆍ경제적 교류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발굴도 중요하다”고 두 의원은 언급했다.
나아가 두 의원은 “특히, 겨울철 거창~무주~진안 간 고속도로의 위험성(블랙아이스)을 고려해서라도 전주~김천 간 철도사업이 예비타당성을 면제받을 수 있도록 내년 대선공약에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