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분쟁 시 명의신탁에 대한 법리를 명확하게 알아야
지이코노미 강소현 기자 | 최근 부동산 정책이 변화하면서 다주택자나 비싼 주택의 소유자가 부담하여야 하는 세금이 조금이나마 줄어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자녀에 대한 증여 등으로 합법적으로 절세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편법을 쓰거나 불법적인 방법을 이용하려는 시도는 절대 금물이다. 그러나 여전히 세금을 포탈하거나 각종 법령상의 제한을 회피할 목적으로 부동산 명의신탁이 악용되고 있으며 그로 인한 갈등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부동산 명의신탁은 부동산을 실제의 소유자가 다른 사람의 명의를 빌려 소유권 등기를 하는 것이다. 1995년 부동산실명법이 시행되면서 명의신탁약정은 무효이고 이에 따른 등기로 이루어진 물권변동의 효력은 인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의신탁을 하게 되면 명의를 빌려준 사람이나 빌린 사람 모두 형사처벌을 받는다. 수원에서 20년 넘게 부동산소송을 맡아온 한병진 변호사는 “명의신탁이란 대내적으로 신탁자가 소유권을 보유하되 등기명의를 수탁자 앞으로 한 것을 말한다. 명의신탁약정은 원칙적으로 무효인데, 명의신탁에는 여러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법리도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명의신탁에 대한 소송이나 분재이 발생할 경우 부동산전문변호사와 상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