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근골격계 건강 ‘적신호’... 초기 치료가 중요
지이코노미 박동훈 기자 |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가 일상화되면서 직장인의 근골격계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디스크, 회전근개파열, 척추관 협착, 좌골신경통, 급/만성요통, 슬관절통, 근골격계 질환 등 초기에 치료 받는 것이 중요하다. 허리를 숙이고 고정된 자세로 앉아서 오랜 시간을 보내거나, 무거운 물건을 반복적으로 들거나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물건을 드는 경우 허리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통증이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고 반복되면 디스크와 같은 근골격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허리디스크’로 불리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은 추간판이 돌출되어 요통 및 신경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우리 몸에는 척추 몸체뼈와 뼈 사이에 디스크라는 구조물이 있는데, 디스크가 외부의 큰 충격이나,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튀어나오게 되면 신경을 압박하고 통증과 염증을 유발한다. 초기에는 일시적인 통증만 나타나 근육통으로 오해하기 쉽다. 증상을 장시간 방치하면 척수경막, 신경근 등을 압박해 통증이 심해지고, 다리가 저리면서 점차 감각이 둔해질 수 있다. 척추 및 기타 근골격계 관련 질환을 개선하기 위해 통증클리닉(Pain Clinic)을 운영하는 한방병원을 찾아 보는 것도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