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박동훈 기자 |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가 일상화되면서 직장인의 근골격계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디스크, 회전근개파열, 척추관 협착, 좌골신경통, 급/만성요통, 슬관절통, 근골격계 질환 등 초기에 치료 받는 것이 중요하다.
허리를 숙이고 고정된 자세로 앉아서 오랜 시간을 보내거나, 무거운 물건을 반복적으로 들거나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물건을 드는 경우 허리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통증이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고 반복되면 디스크와 같은 근골격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허리디스크’로 불리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은 추간판이 돌출되어 요통 및 신경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우리 몸에는 척추 몸체뼈와 뼈 사이에 디스크라는 구조물이 있는데, 디스크가 외부의 큰 충격이나,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튀어나오게 되면 신경을 압박하고 통증과 염증을 유발한다.
초기에는 일시적인 통증만 나타나 근육통으로 오해하기 쉽다. 증상을 장시간 방치하면 척수경막, 신경근 등을 압박해 통증이 심해지고, 다리가 저리면서 점차 감각이 둔해질 수 있다.
척추 및 기타 근골격계 관련 질환을 개선하기 위해 통증클리닉(Pain Clinic)을 운영하는 한방병원을 찾아 보는 것도 방법이다. 이러한 한방병원에서는 증상이 지속된 기간, 통증의 강도, 재발의 횟수, 환자의 직업, 나이, 성별, 작업량 등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해 보존적 방법으로 증상을 개선한다.
초기 추간판 탈출증 개선을 위한 비수술적 치료법으로는 도수치료와 추나요법이 있다. 수기치료라는 점은 동일하나 진단 주체가 다르다. 추나요법은 한의사가 직접 진단한 뒤 수기로 치료하는 것이고, 도수치료는 의사가 진단한 뒤 의사나 물리치료사가 소도구 등을 활용해 진행한다.
두 방법 모두 약물이나 마취, 절개 등의 방식을 사용하지 않아 신체 부담이 적다. 청소년(성장클리닉)이나 약물 알러지 등이 있는 환자 등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환자의 관절 가동범위와 운동 가능범위를 진단한 후 병변부위의 근육을 이완시키고 바로잡아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한 뒤 기구를 이용한 근력 강화 운동을 전개하면 초기 허리 통증을 수술 없이 개선할 수 있다. 수기로 진행되는 치료는 환자의 상태와 통증의 정도를 면밀히 파악한 뒤 이뤄져야 한다. 숙련된 병원 및 의료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가 일정 수준 이뤄졌다면 운동치료와 함께 자세교정, 생활 습관 교정 등으로 재발을 방지해야 한다. 척추 주변 근육을 강화해 바르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권고한다.
도움말: 해동한방병원 병원장 이상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