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 시선] 목포 교권침해 1위, 교육지원청은 무엇을 하고 있나?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2025년 4월 10일 오후 4시, 목포교육지원청 앞에서 전교조 전남지부와 지역 교육주체들이 함께하는 ‘교권침해 대책 촉구 기자회견’이 열린다. “부끄러운 교권침해 1위 목포, 지원청은 대책안 마련하라!”는 구호가 상징하듯, 목포 지역의 교권 침해 상황은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지점에 다다랐다. 2024년 한 해 동안 목포교육지원청에서만 총 26건의 교권침해 심의가 진행됐고, 이 중 24건이 ‘교권 침해’로 인정됐다. 이는 도내 2위인 여수(9건)보다 거의 3배에 달하는 수치다. 교사에 대한 부당한 간섭, 폭언, 폭행 등이 학교 현장에서 반복되고 있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그 이후다. 교권 침해가 수치상으로는 명백히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지원청은 이 현상을 단지 ‘통계’로만 보고 있다는 점이다. 원인 진단도, 대응 대책도 없는 상태에서 교사들은 매번 혼자 감당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린다. “교권의 붕괴는 교육의 붕괴다”라는 말이 현장에서 피부로 와닿는 이유다. 이번 기자회견은 단지 숫자에 대한 항의가 아니다. 교육의 당사자인 교사가 존중받는 구조를 만들어달라는 요구다. 특히 기자회견을 주최한 전교조 전남지부는 교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