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시내버스 노동조합이 지난 5일 전면 파업에 돌입하면서 시민들의 출퇴근길에 비상이 걸렸다. 전남지방노동위원회의 임금 및 단체협약 3차 조정이 결렬된 뒤, 노조는 기본급 8.2% 인상과 정년 연장(61세에서 65세)을 요구하며 파업 카드를 꺼냈다. 반면 사측은 심각한 운송 적자 상황을 이유로 임금 동결 입장을 고수하며 맞서고 있다. 광주시는 곧바로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했다. 비노조원을 긴급 투입해 전체 버스의 70% 수준인 700대를 운행하며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장기화될 경우 운전원의 피로 누적이 우려돼 임차버스 투입도 검토 중이다. 변경된 운행 노선과 시간표는 시 버스운행정보시스템과 빛고을콜센터(120)를 통해 안내되고 있다. 도시철도와 택시 운행을 확대하고, 교육청·기업·공공기관과 협력해 등하교 시간 조정과 출퇴근 유연근무, 카풀 캠페인 등 대체 교통수단 활성화도 적극 추진한다. 특히 광주시는 자치구, 경찰청, 버스업체와 현장점검반을 구성해 노조의 비노조원 버스 운행 방해 행위를 엄중 차단할 방침이다. 파업 상황과 변경된 버스 운행 정보, 시민 협조 요청 사항은 버스정류소와 온‧오프라인 홍보매체를 통해
지이코노미 이창희 기자 | 우형찬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이 서울시버스노동조합과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간 임금단체협상이 새벽 1시 20분경 극적으로 타결됨에 따라 파업 없이 정상 운행하게 된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올해 초부터 노사 양측은 임금인상률 등과 관련한 자율교섭을 실시했으나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이에 노조 측이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했고 25일 열린 2차 조정 회의에서 결론이 나지 않을 경우 26일 새벽 4시부터 노조의 시내버스 전면 파업이 예고됐다. 협상 평행선을 달리던 노사는 협상 마감 시간을 넘겼으나 추가 협상을 이어간 끝에 임금협상에 극적으로 합의해 서울시민의 교통대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주요 교섭 사안 중 노사가 가장 첨예하게 대립했던 임금 인상 문제는 기존 8%대 인상 요구안에서 최종 5%대 인상으로 정해져 물가상승률을 반영하는 선에서 합의가 도출되었고 파업이라는 극단적인 상황만은 피하게 된 것이다. 우형찬 교통위원장은 "시민 편의를 위해 시내버스 파업이라는 극단적인 상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합의점을 도출한 서울시버스노동조합,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양측에 감사 말씀을 전하며, 앞으로도 서울특별시의회 교통위원회는 버스 업계의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