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코딩은 전문가만 하는 거 아닌가요?" 포스코 광양제철소 교육 현장에 모인 직원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들린 말이다. 반복되는 사무 작업과 익숙한 보고 절차를 개선할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이들은, 뜻밖의 기회를 마주했다. 바로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즉 사무자동화 기술 교육이다. 광양제철소는 지난 6월 10일부터 11일까지, 백운아트홀에서 현장 엔지니어부터 사무직 직원까지 다양한 부서가 참여한 RPA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포항제철소와 함께한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포스코DX가 자체 개발한 로우코드 기반 솔루션 ‘A.Works’를 활용해 진행됐다.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직접 자동화 앱을 만들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직원들의 이목을 끌었다. 교육을 받은 정주영 사원은 “코딩은 전공자나 하는 줄 알았는데, 막상 해보니 생각보다 쉽고 재미있었다”며 “업무 시간의 절반 가까이를 반복적인 작업에 쓰고 있었는데, 이번 교육 덕분에 자동화 가능성을 직접 느꼈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이론 중심의 설명을 넘어서 실제 사무 환경에 접목 가능한 실습에 몰입했다. 변수 저장,
지이코노미 권오연 기자 | 천만그루 정원도시 전주 곳곳에 식물 자동화 관리기술이 도입된 새로운 형태의 실내정원인 ‘스마트가든’이 생겼다. 전주시는 올해 한국국토정보공사(LX) 본사 등 22개 공공기관과 12개 산업단지, 3개 의료기관 등 총 37곳에 1200㎡에 달하는 스마트가든을 조성했다고 31일 밝혔다. 스마트가든은 실내 미세먼지 저감과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해 이용자의 치유, 휴식, 관상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실내수직정원이다. 실내공간에 적합한 식물 소재를 활용하고 관리가 편리하도록 식물 자동화 관리기술이 도입된 것이 특징이다. 시는 올해 처음 조성한 스마트가든을 수요기관 현장 여건에 따른 필요성을 반영해 벽면형·큐브형·가구형으로 다채롭게 구성했으며, 자동화 관수를 비롯해 생장 조명까지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올해 스마트가든 조성에 참여한 아중요양병원 관계자는 “스마트가든이 원내 어르신들의 스트레스 해소와 활력 증진에 도움이 되고 있다”면서 “쾌적한 실내환경으로 병원 근무자들의 만족도도 높아졌다”고 소감을 밝혔다. 최병집 전주시 정원도시자원순환본부장은 “올해 스마트가든 조성사업에 이어 내년에도 생활밀착형 정원패키지 사업을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