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이 오는 22일 전남대학교 대학본부 세미나실1에서 제2회 5·18연구자대회 기록세션 학술회의를 개최한다. ‘국가폭력 아카이브 구축의 명암’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회의는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성공회대학교 민주자료관, 전남대학교 5·18연구소가 공동 주최하며 국가유산청, 광주시, 전남도, 전남대학교가 후원한다. 5·18 관련 기관과 국가폭력 관련 단체, 기록 연구 기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관련 단체 등 다양한 기관이 참석할 예정이다. 학술회의 첫 발표는 송용한 성공회대 민주자료관 연구교수가 맡는다. 송 교수는 ‘국가폭력 데이터베이스(DB) 구축 표준화 기준 및 방안 연구’를 통해 국가폭력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고려해야 할 기준과 표준화 방안을 제시한다. 이어 윤혜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과장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아카이브 사례를 소개하며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장연희 10·29이태원참사특별조사위원회 비서관은 ‘기억은 누구의 것인가?: 국가폭력 기록의 권리와 책임을 묻다’ 발표에서 국가폭력 기록물의 소유권과 저작권 문제를 조명하고 해외
지이코노미 김대현 기자 | 화순군(군수 구충곤)이 전라남도 최초로 지역 독립유공자 전수조사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연구 용역을 진행한다. 화순군은 지난 7월 전남대학교와 연구 용역 계약을 맺고 화순지역 독립운동사 재정립과 지역 역사 문화유산 발굴, 독립운동 정신 계승 등 지역 역사 문화 콘텐츠 제작을 위한 실태조사에 들어갔다. 군은 13개 읍면의 독립운동 전·후 상황 실태조사, 독립운동가와 가족 커뮤니티 조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축해 지역 역사 문화 콘텐츠 제작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자료 부족으로 서훈을 받지 못한 독립운동가의 서훈도 신청한다. 화순지역에서 발생 한, 구한말 의병운동, 동학농민운동, 3.1운동, 국내 항일운동, 계몽운동, 민족교육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 등 사건과 관련한, 인물, 가족 사항, 생가, 독립운동 장소, 유물(문헌, 도구)에 관한 제보도 받는다. 관련 사실에 대해 알고 있는 군민은 화순군 사회복지과 복지기획팀과 주소지 읍면 행정복지센터에 제보하면 된다. 화순군 관계자는 “화순 지역 숨은 독립유공자 발굴에 첫걸음을 뗐다”며 “지역 역사 문화 계승을 위해 군민들의 관심과 제보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