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중국, ‘세계 e스포츠 산업의 중심…한국과 협력 가능성 높아진다’
지이코노미 정길종 기자 |중국은 이제 세계 e스포츠 산업의 핵심 무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장 규모, 팬덤, 정부 정책 지원을 고루 갖추며 산업적, 문화적 파급력을 동시에 확장하고 있다. 특히, 교육과 연구 분야로까지 영역을 넓히려는 최근의 흐름은 한국을 비롯한 주요 e스포츠 강국들과의 협력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중국 e스포츠 시장의 규모는 약 1,440억 위안(약 27조 원)에 달하며, 이는 전 세계 e스포츠 시장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거대한 규모다. 또한, 2024년에는 e스포츠 관련 이용자 수가 4억 9천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단순히 게임 소비에 그치지 않고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콘텐츠·교육·관광 융합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 정부는 e스포츠를 전략 산업으로 공식 지정하고, 일부 지방정부는 e스포츠 경기장을 스포츠 인프라로 분류하여 국가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상하이와 항저우는 각각 ‘e스포츠 메카’로 자리 잡으며, 지역 경제와 문화 발전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e스포츠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청소년 인재 양성과 학문적 접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