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최태문 기자 | 부산시의회가 취약계층 학생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발전 방향 모색에 나선다. 교육위원회 이순영‧이정화 의원은 9.16일 오후2시, 시의회 의원회관 회의실에서 관련 전문가 및 교육복지사, 학부모 등이 참여하는 “부산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성과와 발전 방향” 토론회를 개최한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저소득층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취약계층 학생들에게 교육적 지원뿐 아니라 문화‧복지 영역에 대한 지원을 함께 제공하여 교육격차를 해소하고자 하는 사업이다. 2003년, 전국 최초로 부산 2개 지역(북구 덕천동, 해운대구 반송동)과 서울 6개 지역이 시범사업으로 선정돼 부산 12개 학교가 사업을 시작했으며, 이후 2009년에 10개 지역으로, 2015년에는 전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저소득층 학생수 규모에 따라 올해 △‘중점학교’는 초 75교/중 70교로 총 145개교, △‘지원학교’는 초‧중 총 304개교가 지정되어 있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2011년 특별교부금 사업에서 보통교부금 사업으로 바뀌면서 교육청 사업으로 이관되었지만 지원체계 등 제도적 기반이 미흡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교육위원회에서는 부산지역 교육복지사와의 협의회 등을 거쳐 지난 7월 「부산시교육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고, 제도의 현장 안착을 위해 이번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관련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토론회는 고신대학교 주석진 교수를 좌장으로 이선지 교육복지사와 김나정 부산시교육청 사무관이 주제 발표에 나서며, 토론에는 이숙조 옥천초등학교 교장, 황진미 덕원중 학부모, 박상철 광주시교육청 장학사, 최웅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장, 최혜진 부산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 과장이 참여한다.
이정화 의원은 “부산지역 150여 명의 교육복지사가 이번 조례 제정을 계기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정체성을 찾고 교육불평등 해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자는 데 뜻을 모으고 있다”며 “부산에서 전국 최초로 시작된 사업인만큼 선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도록 제도를 재정비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