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연구사업 공고를 취소하고 국책은행 지방 이전을 제외하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10일 금융노조는 성명을 통해 "금융정책을 관장하는 금융위원회를 제치고 뜬금없이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금융중심지에 관한 연구용역을 발주한 것은 심히 그 저의가 의심된다"며 "국책은행의 지방 이전을 염두에 둔 행보가 아닌가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서울, 부산에다 전북까지 연구 대상에 포함한 것은 '헥시트(Hexit : HongKong+Exit)' 아시아 금융허브로 발돋움할 전략을 찾겠다는 연구 주제에도 정면으로 역행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노조는 "금융허브라는 중요한 국가적 과제의 연구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손을 댈 사안이 아니다"며 "국내 금융업의 집약과 해외 금융회사의 유치, 무엇보다 국외자본이 집중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일은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아니라 금융우원회가 장기적인 안목으로 뚝심 있게 추진해나가야 할 과제"라고 밝혔다.
이어 "금융중심지를 국가균형발전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은 그 선의와는 달리 금융산업을 지역주의의 희생양으로 만들 가능성이 매우 높다"라며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즉각 연구사업 입찰공고를 취소하고 진짜 국익을 위한 금융산업의 백년지대계를 위해 국책은행을 지방 이전 대상에서 제외하기를 촉구한다"고 요구했다.
국제 금융허브 경쟁력 지표인 국제금융센터(GFCI) 지수에 따르면 서울과 부산은 2014년 상반기 각각 7위, 27위에서 올해 상반기 33위와 51위로 급락했다. 금융노조는 "'두 개의 금융중심지' 정책의 오류를 인정하고 수도 서울에 금융업을 집약시켜야 하는 상황에서, 또 하나의 금융중심지 지정을 논하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홍콩 국가보안법 이후 아시아 금융허브 정책의 국가균형 발전전략'이라는 이름의 연구사업 입찰 공고를 냈다. 그러면서 "홍콩 송환법 반대 시위와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실시에 따라 아시아 금융허브의 재편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며 "동아시아 중심 시대에 한국이 국가균형발전의 시각에서 아시아 금융허브 중심지로 성장하기 위한 전략과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