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군, 2025년도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계획 평가 우수-지난 8월 29일 국립순천대학교 글로컬대학 고흥캠퍼스 개소식에서 주요 내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앞줄 왼쪽 5번째부터 순천대학교 이병운 총장, 김영록 전남지사)/고흥군 제공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남 고흥군(군수 공영민)은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2025년도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평가에서 ‘우수지역’으로 최종 선정되어 160억 원의 기금을 지원받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일환으로, 중앙정부가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역 및 기초 자치단체에 연간 1조 원씩 지원하는 재정 프로그램의 중요한 성과이다.
지방소멸대응기금은 2022년부터 2031년까지 매년 1조 원씩 총 10년간 지원되며, 각 지자체의 투자계획을 평가하여 차등 배분된다. 특히 2025년부터는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배분체계가 도입되며, 인구 감소 지역 89개 지자체 중 8개소가 우수지역으로 선정되어 각각 160억 원의 기금을 지원받는다. 양호지역으로 분류된 81개소에는 72억 원이 배정된다.
고흥군은 지역 주민과 사업 참여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문금주 지역구 국회의원과의 협력을 통해 투자사업을 발굴하는 등 우수지역 선정을 위해 체계적으로 준비해왔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결과, 지난 7월부터 진행된 공정하고 엄격한 검증 과정을 거쳐 고흥군은 최종적으로 '우수지역'으로 선정되며 기금을 확보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특히, 지난 10월 15일에 실시된 행정안전부의 대면 평가에서 공영민 군수는 직접 발표를 진행하며 지역의 인구 문제와 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논리적으로 설명하여 평가위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를 통해 고흥군의 강력한 기금 확보 의지를 표명했다.
2025년도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청년 인구 정착, 생활 인구 확대, 연계 및 협력을 주요 추진 전략으로 삼고, 고흥만을 거점으로 하는 ‘청년 창업형 스마트 농수축산밸리 조성’과 ‘청년 창업 및 일자리 기반 조성’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또한, 청년 복합 허브센터 조성과 전남형 만원주택 부대시설 지원 등을 통해 주거 및 생활 인프라를 확충하고, 소록도를 활용한 마리안느·마가렛 볼런투어를 운영하여 자원봉사와 연계한 생활 인구 유입을 도모할 계획이다.
공영민 군수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인구 절벽에 처한 고흥군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청년 창업형 스마트 농수축산밸리 기반 구축을 통해 지역에 활력을 넘치는 지방소멸 대응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고흥군은 기금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고흥군 인구감소 대응 정책단’을 구성하고, 기금 사업으로 조성된 시설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위해 연계된 추가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이러한 계획들은 고흥군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