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포스코는 18일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현대제철과 함께 철강부산물을 활용한 고속도로 건설 및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고속도로 아스팔트 포장에 제강슬래그를 안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품질 기준을 제정하고, 기술 교류를 통해 협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제강슬래그는 철강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천연골재 대비 높은 강도를 가진 유용한 대체 자원이다. 기존에는 주로 성토용 기초 골재로만 활용되었으나, 이번 협력을 통해 아스팔트 도로포장으로 활용 범위를 확대하게 됐다.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 아스팔트 포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고품질 천연골재의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제강슬래그가 현실적인 대안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제강슬래그는 도로 수명을 연장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며, 천연 자원의 고갈 문제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제강슬래그의 품질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도로교통연구원은 도로포장 기준 개정에 협조하며,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는 환경부의 제도 개선을 지원할 예정이다.
조경석 포스코 환경에너지기획실장은 “포스코는 철강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자원화하여 순환경제 실현에 기여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제강슬래그의 품질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조남민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장은 “환경을 고려한 고속도로 건설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앞으로도 민간과 학계의 협력을 통해 친환경 기술 개발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제강슬래그의 활용을 본격화하며, 신규 고속도로 건설과 기존 도로의 유지보수 작업에 적극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부산물의 자원화와 재활용 기술 개발을 통해 순환경제 사회 구현에 기여하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선도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