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0.6℃
  • 맑음강릉 19.5℃
  • 맑음서울 20.8℃
  • 맑음대전 20.6℃
  • 맑음대구 21.3℃
  • 맑음울산 16.7℃
  • 맑음광주 20.9℃
  • 맑음부산 15.7℃
  • 맑음고창 19.5℃
  • 맑음제주 16.4℃
  • 맑음강화 17.4℃
  • 맑음보은 19.3℃
  • 맑음금산 20.5℃
  • 구름조금강진군 20.0℃
  • 맑음경주시 22.2℃
  • 맑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3년 연속 줄어든 소비… 지난해 소매판매, 21년만에 최대 감소폭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 소비가 전년 대비 2.2% 줄어들었다. 소매판매액지수는 2022년(-0.3%), 2023년(-1.5%)에 이어 3년 연속 줄었다. 이는 통계 작성 이래 최장기간 감소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소매판매액 지수 감소폭은 2003년(-3.2%) 이래 최대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생산 부문은 양호하지만, 소비가 부진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승용차 등 내구재(-3.1%),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4%), 의복 등 준내구재(-3.7%)에서 판매가 모두 줄어든 때문이다. 소매업태별로는 전년 대비 무점포소매(2.4%), 면세점(3.1%)에서 판매가 증가했다. 그러나 전문소매점(-3.4%),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4.1%), 슈퍼마켓 및 잡화점(-5.9%), 백화점(-3.3%), 대형마트(-2.3%)에서 판매가 줄었다.
 

자료: 통계청

 

 

반면 지난해 전산업생산지수와 투자는 전년 대비 각 1.7%, 4.1% 증가했다.

전산업생산지수는 광공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늘면서 호조세를 나타냈다. 광공업 생산은 전년 대비 4.1%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전기장비, 1차금속 등에서 줄었으나, 반도체, 의약품 등에서 늘었다. 광공업 출하는 전년 대비 0.5% 증가했다. 내수 출하가 2% 줄었으나, 수출 출하가 4% 증가했다.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2.9%로 전년 대비 1%포인트 올랐다.

서비스업 생산도 4년 연속 증가했다. 도소매 등에서 줄었으나, 운수·창고, 금융·보험 등에서 생산이 늘면서 전년 대비 1.4% 늘었다.

 

자료: 통계청


설비투자는 전년 대비 4.1% 증가했다.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2.9%) 및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7.8%)에서 투자가 모두 늘었다. 국내 기계수주는 1.2% 증가했다. 공공운수업 등 공공(0.1%) 및 운수업 등 민간(1.3%)에서 모두 늘어난 영향이다.

반면 건설기성(불면)은 전년 대비 4.9% 줄었다. 토목(1.8%)에서 늘었으나, 건축(-6.9%)에서 공사실적이 줄었다. 건설기성은 2022년(2.8%)과 2023년(7.3%) 증가세였으나, 지난해 감소세로 돌아섰다. 건설수주(경상)는 철도·궤도 등 토목(-1.9%)에서 줄었으나, 주택 등 건축(11.8%)에서 수주가 늘어 전년 대비 7.2%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