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건설사도 미분양 공포...자금 압박 커져(CG) 연합뉴스 제공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다 짓고도 팔리지 않은 '악성 미분양' 주택 규모가 2만3,000가구에 육박하며 11년 3개월 만에 최대치가 됐다.
일반 미분양은 수도권에서 한 달 새 2,000가구 이상 늘어 7만2,000가구대로 불어났다.
건설경기 침체가 깊어지는 가운데 연초 인허가·착공 등 주택 공급 선행지표도 부진한 모습이다.
공사비가 증가한 상황에서 미분양까지 쌓이면서 은행 이자도 갚지 못해 위기에 몰리는 지방 건설사들이 속출하고 있다.
미분양주택 현황 자료: 국토교통부 제공
◇ 악성 미분양 86% 지방서 발생
국토교통부가 28일 발표한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2,624가구로, 전월보다 3.5%(2,451가구) 늘었다.
증가분은 전부 수도권에서 나왔다.
평택에서 미분양이 대량 발생하며 경기 미분양(1만5,135가구)이 한 달 새 2,181가구 늘었다.
이에 따라 수도권 미분양(1만9,748가구)이 전월보다 16.2%(2,751가구) 늘었고, 지방(5만2,876가구)은 0.6%(300가구) 감소했다.
미분양 주택은 경기도에 가장 많았다.
대구(8,742가구), 경북(6,913가구), 경남(5,203가구) 순이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지난달 말 2만2,872가구로 전월보다 6.5%(1,392가구) 늘었다.
이는 2013년 10월(2만3,306가구)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다.
2023년 8월부터 18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늘어난 악성 미분양의 86%는 지방에서 발생했다.
특히 대구 악성 미분양(3,075가구)이 401가구, 부산(2,268가구)은 382가구 증가했다.
정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방 미분양 3,000가구를 사들이고, 지방 미분양을 매입하는 CR리츠(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를 조속히 출시하겠다는 방안을 지난 19일 내놨지만 시장 반응은 시큰둥하다.
업계가 요구해 온 취득세와 양도소득세 완화 등 세제 혜택이 빠진 데다 LH 매입 물량도 적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그러나 정치권이 요동치는 탄핵 국면에서 정부가 추가 세제 혜택을 내놓더라도 이를 위한 세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들어 삼부토건, 인강건설 등 중견 건설사들은 줄줄이 법정 관리를 신청하고 있다. 업계에선 상반기 중 법정관리를 신청하거나 부도·파산하는 건설사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주택거래 현황 자료: 국토교통부 제공
◇ 인허가 13%·착공 56% 감소…주택공급 선행지표 부진
연초 주택 공급 지표 또한 부진하다.
1월 주택 인허가는 2만2,452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0% 줄었다.
수도권 인허가(1만5,128가구)가 37.9% 늘었지만, 지방(7,324가구)에서 50.7% 줄어든 여파다.
1월 주택 착공은 1만178가구로 작년 동기보다 55.7% 감소했다.
수도권 착공(3,985가구)이 68.4%, 지방(6,193가구)은 40.1% 줄었다.
1월 분양은 7,440가구로 작년 동기 대비 46.2% 감소했다.
준공 실적(4만1,724가구)만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5% 증가했다.
수도권 준공(1만6,32가구)이 19.4% 줄었으나, 지방(2만5,692가구)이 52.2% 늘었다. 아파트 준공이 20.6% 증가했고, 비아파트는 37.1% 줄었다.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는 3만8,322건으로 전월보다 16.5% 감소했다.
서울의 주택 매매거래는 1월 5,307가구로 전월 대비로 6개월 연속 줄었다. 이중 아파트 거래가 3,233건으로 전월(3,656건)보다 11.6% 감소했다.
지난달 전월세 거래는 20만677건으로 전월보다 7.9%,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19.0% 줄었다.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은 59.2%다. 전년보다 3.3%포인트 증가하며 60%에 육박했다.
특히 전국 비아파트의 월세 거래 비중은 1월 73.7%까지 높아졌다. 서울은 73.8%이며, 지방은 79.7%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