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광역시가 공공건축물의 하자 예방과 품질 향상을 위해 ‘시공 자문 실무전담팀(TF)’을 운영하며 건설사업 관리 혁신에 나선다. 민간 전문가와 협업해 시공 전 과정을 면밀히 점검하고, 디지털 기반의 업무 공유 시스템을 도입해 공사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광주시 종합건설본부는 기획부터 설계, 시공까지 전 과정에서 협업을 강화하는 ‘공공건축물 건설사업 관리 개선안’을 마련했다. 특히 하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착공, 설계변경, 방수공사 등 주요 시공 단계를 점검하는 ‘시공 자문 실무전담팀’을 운영한다. 외부 전문가와 협력해 예측 가능한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고, 실질적인 하자 대응력을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이와 함께 공공건축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월 감독공무원의 안전 점검과 현장소장의 일일 안전교육을 의무화하고, 주요 골조공사의 영상 촬영을 통해 부실공사를 방지한다.
공사 관리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온라인 기반 업무 공유 시스템도 도입한다. 이를 통해 공사 관리 노하우와 사례를 축적하고, 부서 간 정보 공유를 원활히 해 실무자의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수평적 토론 문화를 정착시켜 인사이동에 따른 업무 단절을 방지하고, 공공건축물 사업의 연속성을 유지한다.
신재욱 종합건설본부장은 “실무자들과 개선안을 공유하고 논의하면서 공공건축물의 품질과 안전성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피드백을 반영해 실효성 있는 건설사업 관리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종합건설본부는 지난 3월 24일 ‘건설사업관리 혁신방안 공유회’를 개최해 개선안의 실무 적용 방안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