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목포시가 2025년 제3회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며 민생 안정과 지역경제 회복에 다시 한 번 시동을 걸었다. 총 규모는 426억 7천만 원으로, 이 중 425억 원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분 집행을 위해 배정됐다.
국비 381억 원, 도비 22억 원, 시비 22억 원이 조달되어,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실효성 있는 소비 진작책을 추진하는 구조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침체된 소비 심리를 되살리고, 소상공인 매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다. 목포시는 이번 1차분에 이어 오는 9월 예정된 4회 추경을 통해 2차분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추정 예산은 187억 원이며, 이 역시 국·도·시비가 각각 90%, 5%, 5% 비율로 분담된다.
이번 추경에는 성립전예산 1억 7천만 원도 포함됐다. 총 5개 부서에서 추진하는 8개 사업이 대상이다. 이는 예산 성립 전 집행이 불가피했던 긴급 사업들로 구성됐으며, 지방재정법 제45조에 따라 차기 추경에 반드시 반영해야 한다.
주요 사업을 보면, ▲목포시체육회 운영비 지원(국비 1천 2백만 원), ▲탄소중립 생활실천 우수아파트 경진대회 시상금(도비 1천 5백만 원), ▲구 호남은행 목포지점 흰개미 방충사업(국비 3천 8백만 원), ▲산정근린공원 주변 우수관로 준설 및 도시공원 우수받이 정비(각 2천만 원, 특별교부세) 등이 포함돼 있다.
또한, ▲무더위쉼터 냉방비 지원(도비 1천 2백만 원), ▲폭염 대비 취약계층 물품지원(2천만 원), ▲스마트 그늘막 설치(3천 3백 6십만 원) 등은 폭염 대응 및 생활 안전망 강화에 초점을 맞춘 사업들이다.
이처럼 환경·복지·체육 등 주민 체감도가 높은 생활 밀착형 사업을 골고루 배치한 이번 추경은, 재정 운용을 넘어 시정의 운영 방향과 철학을 드러내는 결정이라 할 수 있다.
목포시는 성립전예산 사업의 조속한 집행을 위해 시의회에 사전 설명을 진행하는 등 적극적인 행정 대응에 나서고 있다.
시 관계자는 “예산은 타이밍이 생명”이라며 “추경 예산이 제때 집행돼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로 이어지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민생 회복을 위한 직접적인 예산 투입과 함께, 폭염과 환경 문제 같은 생활 현안까지 두루 챙긴 목포시의 이번 추경은, 지역경제에 숨통을 틔우고 시민 일상의 회복을 뒷받침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