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 택시요금이 조정될 가능성이 커졌다. 인상폭은 13.35%로, 기본요금은 4300원에서 4800원으로 오르고, 주행·시간요금도 새로운 기준에 따라 적용된다. 이번 조정은 물가 상승을 넘어서, 서비스 품질 개선과 택시업계의 안정적 경영 환경 조성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다.
22일 오후, 광주교통문화연수원 대강당은 뜨거운 공론의 장이 됐다. ‘택시요금 현실화 시민공청회’가 열리면서다. 시민, 택시 종사자, 시의원, 전문가 등 400여 명이 모여 ‘택시요금은 과연 지금 이대로 괜찮은가’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펼쳤다. 표면적으로 ‘오르냐, 마냐’ 논쟁에 머무르지 않고, 요금 구조 개편, 환승 할인제도, 콜 배차 시스템 효율화, 필수운행제 등 다층적인 제안이 오갔다.
공청회의 서두에서 광주시는 지난해 체결한 ‘택시업계와의 상생협약’을 다시 꺼내 들었다. 카드결제 수수료 지원, 근로장려금 확대, 선진지 견학 등 다양한 지원책을 이미 시행해오고 있으며, 이번 요금 조정 역시 이 협약의 연장선에 있다고 강조했다.
요금 논의는 광주시가 직접 추진한 ‘택시요금 적정 산정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시작됐다. 전국 주요 도시와 비교해도 광주의 기본요금은 낮은 편이고, 1㎞당 운송원가 역시 꾸준히 오르고 있다는 점이 제시됐다.
서울과 인천의 기본요금은 4800원(1.6㎞), 부산은 4800원(2㎞), 광주는 여전히 4300원(2㎞). 평균 거리 5㎞ 기준으로도 광주 택시는 전국에서 가장 요금이 낮은 축에 속한다. 이런 수치들은 단지 ‘저렴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택시업계 종사자의 경영 부담, 서비스 질 저하와 직결되는 구조적 문제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날 잠정 합의된 요금안은 기본요금 4800원(1.7㎞), 주행요금 132m, 시간요금 32초로 구성됐다. 인상이 아니라, 수익성과 공공성을 모두 고려한 정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광주시는 시민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탈택시’ 현상을 막고, 보다 나은 교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최종 인상안은 앞으로 택시정책심의위원회와 물가정책심의위원회 논의를 거쳐 확정된다. 그 사이에도 광주시는 다양한 의견을 추가로 청취할 계획이다.
강기정 시장은 “요금 조정은 시민의 일상과 직결되고, 업계에는 생존이 걸린 문제”라며 “시민의 목소리를 충분히 듣고,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요금 현실화 논의가 단지 ‘가격표의 수정’이 아닌, 광주형 교통서비스의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