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최영규 기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의회 손세영 의원(더불어민주당, 제기·청량리동)은 7월 24일 열린 제345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구)청량리동 주민센터 청사의 향후 활용 방향과 공유주방의 개방형 운영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며, 정릉천 복개주차장 상부 문화복합공간의 철저한 사전 점검도 함께 촉구했다.
손 의원은 “청량리동은 1인 가구 비율 31%, 노인 인구 비율 50% 이상으로 서울시 평균을 크게 상회하는 지역 특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걸맞은 복지시설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현재 리모델링된 (구)청량리동 주민센터 청사 공간 중 주민이 직접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은 공유주방 하나뿐이며, 이마저도 운영 주체가 불분명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손 의원은 “해당 청사는 어디까지나 주민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돼야 한다는 원칙 아래, 본 의원이 행정기획위원장으로서 체육회 이전 예산을 직접 삭감한 바 있다”며, “그러나 복지건설위원회로 자리를 옮긴 직후, 해당 예산이 다시 통과되며 체육회 이전이 강행됐고, 그 결과 주민 공간이 확보되지 못한 채 청사 전체가 특정 단체 중심으로 재구성되는 상황에 이르게 됐다”고 깊은 유감을 표했다.
이어 “지금의 논점은 단순히 공유주방 운영 주체가 불분명하다는 문제가 아니라, 주민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공공성 회복이 핵심”이라며, “그동안 공유주방은 자원봉사센터가 운영하면 자원봉사자만, 동주민센터가 관리하면 직능단체만 사용하는 방식으로 운영돼 왔다”고 지적했다. 이에 “담당 부서를 명확히 지정하고, 예약 시스템 등 운영 기반을 마련해 실질적인 주민 공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손 의원은 정릉천 복개주차장 상부에 조성 중인 문화복합공간과 관련하여 “최근 집중호우 시 빗물 고임 현상이 발생하는 등 설계 결함 가능성이 있다”며 “공사가 완료되었더라도 ‘완공’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전에, 세부적인 시설 점검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손 의원은 “공공시설은 단순히 만들어지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주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청량리 공유주방과 정릉천 복합공간이 진정한 복지 플랫폼이자 커뮤니티 거점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계획 수립을 다시 한 번 강력히 요청드린다”고 발언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