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위기의 포스코이앤씨 ‘공공입찰 비상’…수익다각화 전략도 좌초 위기

상반기 사망사고 4건…공공입찰 제한 우려
인프라 수주잔액 매년 감소…건축 편중 심화
영업이익률·현금흐름 급락…수익성 ‘경고등’
정부 제재 현실화되면 수익다각화 전략 좌초

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건설업계 중견 강자인 포스코이앤씨가 올해 상반기에만 네 건의 산업재해 사망사고를 기록하며 위기 국면에 들어섰다. 정부가 건설현장 사고에 대한 강도 높은 제재 방침을 시사한 가운데, 공공 인프라 사업 중심의 수익 다변화 전략에도 심각한 차질이 우려된다.

 

 

6일 건설업계와 국토교통부 등 관련 기관에 따르면, 최근 포스코이앤씨는 반복되는 안전사고로 인해 건설업 면허취소 또는 일정 기간 공공입찰 제한 조치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발생한 4건의 사망사고는 모두 영업 현장에서 발생한 중대재해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포스코이앤씨는 그간 주택사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비교적 수익이 안정적인 인프라 부문 확장을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려는 시도를 이어왔다. 그러나 이 같은 전략에 차질이 생기면서, 회사 전반의 수익성 방어력에도 빨간불이 켜졌다는 분석이다.

 

실제 수주 데이터를 보면, 건축 중심의 포트폴리오 편중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의 전체 신규 수주는 올해 상반기 기준 10조2000억원 수준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이 중 도시정비사업이 5조302억원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주택을 포함한 건축 부문 수주잔액은 2021년 20조7687억원에서 2024년 31조7073억원으로 증가했지만, 인프라 부문 수주잔액은 같은 기간 6조2143억원에서 4조621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인프라 사업은 분양 리스크에 노출되는 건축 부문과 달리, 공공기관이 시행자로 참여하고 비교적 안정적으로 수익 인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고도의 안전성과 시공능력이 요구되며, 사망사고 등 안전사고 발생 시 정부 입찰에서의 신뢰도 저하로 직결될 수 있다는 점이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지난 몇 년간 주택 호황기를 활용해 실적 개선에 성공하기도 했다. 2021년 영업이익은 4409억원으로 전년 대비 16% 이상 증가했고, 이를 기반으로 2022년에는 하이엔드 주택 브랜드 ‘오티에르(Atierre)’를 론칭하며 고급 주거시장 공략에 나섰다. 하지만 금리 인상과 글로벌 공급망 충격 등 외부 변수에 취약한 주택사업 구조는 곧 실적 하락으로 이어졌다.

2022년부터 영업이익률은 급락하기 시작해 2022년 5.37%, 2023년 1.98%, 2024년에는 0.65%까지 떨어졌다. 현금흐름도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2022년 5112억원이던 현금흐름은 2023년 1045억원으로 줄었고, 2024년에는 -4087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이에 따라 회사는 안정적 수익 기반 확보를 위해 신안산선 복선전철 민간투자사업(1조5369억원), GTX-B노선 민간투자사업(7944억원), 서부내륙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1889억원) 등 대형 인프라 사업 수주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중대재해 발생 기록이 입찰 과정에서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익다각화 전략이 근본부터 흔들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포스코이앤씨는 과거에도 공공 인프라 사업에서 존재감을 발휘해 왔지만 최근 잇단 사망사고로 인해 입찰 자격 유지 자체가 위협받는 수준”이라며 “회사 입장에서는 수주 전략 전반을 재조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 역시 중대재해 반복 발생 기업에 대한 제재 수위를 높이는 추세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5일 포스코이앤씨 광명-서울고속도로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 직후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행위”라며 “건설면허 취소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건설사 안전관리 책임 강화와 함께 시장에서의 책임성 요구도 갈수록 커질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포스코이앤씨가 당장의 위기 대응을 넘어, 근본적인 사업 구조 재설계와 안전 시스템 개선을 병행하지 않으면 시장 신뢰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