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건설업계 중대재해 근절을 위해 국내 20대 건설사 최고경영자(CEO)들을 불러 모았다. 그는 최근 포스코이앤씨 등 대형 현장에서 잇따른 사망사고가 발생한 데 대해 “진짜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4일 오후 서울 중구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김 장관은 “사망사고와 같은 중대재해의 구조적이고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야 제대로 된 처방이 가능하다”며 “노동자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관행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노동자를 “안전관리의 객체가 아니라 주체”라고 규정하며, 현장 노동자의 알 권리·참여할 권리·위험 회피권 보장을 당부했다. 이어 “건설업은 하도급 구조에서 하층으로 내려갈수록 비용은 줄고 위험은 전가되는 구조”라며 다단계·불법 하도급 문제를 지적했다.
또한 김 장관은 “안전 수칙 위반이나 중대재해 발생 시 다양한 경제적 제재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기업 옥죄기로 받아들이지 말고 국가 전체의 이익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 차원의 지원도 약속했다.
이날 회의에는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대표, 오세철 삼성물산 대표,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등 대형 건설사 수장들이 참석했다. 김 장관은 송 대표와 수장 교체 후 처음 인사를 나누며 “고생하십니다”라고 격려했다.
간담회에서는 중대재해와 함께 임금체불 감축 방안도 논의됐다. 더불어민주당 산업재해예방 TF 김주영 단장은 “하도급 구조 속 중간착취가 사라지지 않으면 안전사고도 줄지 않는다”며 “안전을 비용으로만 보는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