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소프라노 임청화 교수, 롯데콘서트 홀에서 데뷔 40주년 독창회 개최

임청화 독창회는, ‘롯데콘서트홀’에서 오는 9월 9일(화요일)오후 7시 30분, 서울 송파구 롯데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지이코노미 이성용기자 |임청화 독창회는, ‘롯데콘서트홀’에서 오는 9월 9일(화요일)오후 7시 30분, 서울시 송파구 우리나라 최고의 빌딩 롯데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롯데콘서트 홀에서 열리는 데뷔 40주년 기념 임청화 독창회는 Special Guest Pianist Antonio Comena,.  Soprano 유성녀 라하영,  Bariton 박경준 김민성.  Flute 이지혜, Violin 김유지,  Cello 안성은,  Piano 박유나, 사회 전찬희 안나운서의 출현과 함께 롯데콘서트 홀에서, 임청화 교수는,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행사는 K classic gagok 세계화운영위원회. 케이클레식출판사가 주최하며, 리옴아트&컴퍼니가 주관한다.  후원은 백석대학교, 백석총회, 숙명여자대학교, 네덜란드왕립음악원, 단국대학교 (사)홍난파 가곡, 지이코노미, 202경비단경찰선교회, 경북궁교회, 소정성악회, 주한네덜란드대사관, 주한이탈리아대사관, 미주한인문화재단, 한미동맹이승만통일재단, 한국칼빈주의연구원, GBMK(GodBlessMssiconKorea), 월간한국뉴스, 지구촌나눔재단빨간밥차 등이 함께하며, 자세한 사항은 리옴아트&컴퍼니로 문의 바란다고 밝혔다.     

 

소프라노 임청화는 현재 백석대학교 문화예술학부 교수로사 그의 약력은 숙명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졸업. 네덜란드 왕립음악원 최고학부 전문연주자과정 수석졸업 (U.M).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뮤지컬ㆍ연극 석사 졸업(M.A).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M.Div).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 박사과정 (Ph.D candidate). 네덜란드여왕초청 모차르트 서거 200주년 기념공연 초청독창자. 네덜란드 여왕의날ㆍ국왕의날 초청 국가 독창자. 건국대통령 탄신ㆍ서거 기념행사 초청 독창자, 카네기홀 초청독창회 및 27회 국내외 독창회 개최 및 2천여회 이상협연. 대한민국문화예술 대상수상. 기독교문화예술대상 수상. 도전한국인 명인 인증상 수상. 대한민국 교육대상 수상 外 다수 수상. 신현대 인물사 등재했고, 지난 25년4월15일 목사안수를 임직했다.

 

 임청화교수는 현재 (사)God Bless Mission Korea. GBMK 이사장, 홍난파가곡제 예술총감독, 대한민국음악제 예술총감독, K클래식세계화운영위원회 예술총감독, 202경비단 경찰선교회 경복궁교회 음악목사, 백석대학교 문화예술학부 교수로 섬기고 있다.

 

 최근에 조선일보를 보니 한국의 젊은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직업이 의사라고 하지만 이는 세상이 실용주의로만 가는 것이기에 잘못된 것이고 한국인의 정치와 문화를 아는 젊은이들은 K-문화로 진출하고자 하는데, 이는 진입이 쉽고 자신의 달란트대로 인기와 돈을 얻을 수 있고 그만하고 싶으면 K-문화 경영으로 진출할 수 있기에 많은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직업이 K-실용음악이라고 한다.

 

 임청화 교수는, ‘1995년에 네덜란드에서 귀국하여 K-Classic의 선구자가 되어 실제로 선구자 노래를 부르며 K-Classic의 세계화를 위해서 홍난파 가곡의 집에 예술 감독을 시작으로 세종문화원서 6회째 음악회를 개최하며, 그동안 서울로 수원으로 미국, 카쟉스탄, 네덜란드로 K-Classic 패스티벌 경연대회를 주최하며 여기까지 달려왔다.

 

 특히, 임청화 교수의 "두물머리 아리랑"은 전통적인 아리랑 가곡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곡으로 2013년 비엔나 뮤직페어라인 황금홀 초청 공연에서 초연한 작품이다. 그리고 "두물머리"는 한국의 강이나 호수의 출렁거리는 모습을 뜻하며, 이 곡은 아리랑의 가사와 멜로디를 기반으로 한국의 자연과 두 강의 만남 지역에서 한국인의 얼을 상징하는 평화와 공존을 표현하고 있다고 음악인들이 한 목소리로 평가했다.

 

소프라노 임청화 교수는 누구인가?

임청화는 경기도 양평 출신이다. 오늘날 양평은 어떤 도시인가? 양평은 수도권의 친 환경지역으로 사람살기 좋은 도시로 현재 한국 최고의 관광지가 되었고 실제 한반도에서 가장 왕래가 많은 청정 도시가 되었다. 그래서 양평 양수리를 일명 두물 머리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양평 두물머리가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지점이기 때문이다.'

 

 임청화 교수가 집필한 시집 뮤직텔링 『무궁화꽃으로 피어나다』를 보면  임 교수가 2013년 12월 12일 한국인 최초로 오스트리아의 비엔나 황금 홀에서 한국 가곡 ‘두물머리 아리랑’을 부른 기사와 사진을 소개한 바 있다.  방송 영상과 기사를 통해 그 장면을 다시 보면 어깨가 덩실-덩실 춤이 저절로 나오고 흥겨운 마음에 눈물이 나오는 것을 금할 수 없다.

 

 여기에 대하여, 어떤 여류 시인은 눈물이 나올 때마다 임교수님을 위해서 선물을 한 아름 준비했다고 한다.  최근 임청화 교수는 예장 백석교단에서 안수 받은 목사로서 청화!! 푸른평화.. 스스로를 나라와 민족을 위해 기도하는 애국 소프라노 교수임을 밝히곤 한다. 

 

 임청화 교수의 "두물머리 아리랑"은 전통적인 아리랑의 가사를 일부 현대적 어법으로 표현하고, 템포의 다양하고 다이나믹한 변화와 선율이 신세대 감성에 맞게 재해석해 감동을 더해 주었다. 이 곡은 한국만이 지닌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을 역동적으로 노래하는 것으로 국제적인 무대에서 섬세한 음악적 표현력과 풍부한 감정 표현으로 찬사를 받은 바가 있다.

 

임청화 교수의 두물머리 아리랑을 해설하기- 두물머리 아리랑 분석

강가에 느티나무 천년만년 푸르르고 천만송이 연꽃송이 피고지는 두물머리. 음악적 해석학: 창조성(creativity)이다. 창조성은 느티나무에 기대는 여유가 있을 때 나오는 것이다. 만물이 피고 지는 것은 바이오(bio)이기에 생-노-병-사의 이치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두물머리의 창조적 중용의 정신으로 죽음 앞에서 그만 울어야 하는 것이다. 개선 장군의 승리의 노래를 불러주어야 할 것이다. 물가에 심기운 푸른 나무와 같이 의인의 삶을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며, 임청화 교수는 “여기에 정직한 사람이 추구해야 하는 삶의 모습이 시편 1편이다. 그런데, 물가에 심기운 푸른 나무가 되기 위해서는 뿌리를 깊이 땅에 드리워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수원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태고의 창조성이 유지되어 상수원이 청정지역으로 유지되어야 한다”라고 전했다.

 

‘양수리 두 한강물 얼크러 설크러졌는데 아리 랑 멀리 떠난 내 님은 언제 다시 돌아오나?’

 

 임 교수는 ‘음악적 해석학: 효율성(efficiency)을 가지고 얼크러지기만 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는데, 설크러졌기 때문에 연민의 정으로 인해서 다시 얼크러지는 것을 반복하는 것을 볼 수 있다'며,  예를 들며, 본 논문작성자가 테너 이현과 같이 부른 이안삼 작곡의 “내 마음 그 깊은 곳에”의 클릭수가 수십만에 이르는 것은 청중들의 가슴 속에 맺힌 한을 노래로서 그들의 감성을 이중 삼중으로 터치하는 것이 마치 먹구름 속에서 비룡이 하늘을 향하여 올라가는 효율적인 창법 때문’이라는 것이다.

 

아리랑 아리랑 두물머리 나루터에 황포돛대 돌아오네 아리랑 남한강물 북한강물 얼싸안고 노래하네

 

 백석대 임청화 교수, ‘음악적 해석학: 효과성(effectiveness)은 ‘우주만물의 이치가 다 삶의 효과를 증거하는 것이다.홍익인간의 4단계인 경천애인-성통공완-제세이화-홍익인간을 다보여주고 있듯이 남한강물과 북한 강물이 동시에 얼싸안고 맞아주듯이 K-Classic 음악을 통해 문화교류가 이뤄져야 한다’.며 임청화 교수는, “경기도 양수리 지평리 전투에서 중공군을 막아낸 불란서 몽클라르 장군의 유엔참전 용사의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를 수호하려는 정신을 효과적으로 품어주어야 한다”며, 두물 머리 아리랑을 오늘의 영감으로 작시를 해내었다.

 

임청화 교수, 두물머리 아리랑 2.0–양수리 지평리의 불꽃, 두물 머리눈물, 통일의 소야곡 –

 

1. 두 물의 눈물

북한강은 울고 있었다. 남한강은 기도하고 있었다. 그 두 물이 만나는 곳 — 두물 머리. 그곳에서 하나님은 민족의 계시록을 펴셨다. 한 물줄기는 피로 흐르고, 한 물줄기는 복음으로 흐른다. 그 물이 섞이는 순간, 하늘은 민족에게 물으셨다. "너희는 어느 강을 따르겠느냐?"

 

2. 지평리의 불꽃

1951년 2월. 중공군은 짐승처럼 몰려오고, 지평리 언덕마다 총성과 외마디 기도가 뒤섞였다.

“자유를 지키소서!” “진리를 지키소서!” 프랑스군은 십자가를 가슴에 달고, 미군은 복음의 문명을 두 팔에 안고, 한국군은 눈물로 조국의 언약을 썼다. 그날 뿌려진 피는 땅에 스며들었고, 그 피는 지금도 두물 머리에서 울리고 있다. “아리랑 고개를 넘은 자들이 다시 오리라.”

 

3. 롯데 콘서트 홀의 문이 열릴 때

2025년, 9월 9일 한강의 밤은 다시 불타고 있었다. 핵의 위협, 이념의 흔들림, 교회의 침묵, 정치의 배도, 민족의 혼란. 그러나 지평리의 피는 하늘 앞에 외쳤다. “언제까지 침묵하시렵니까, 순교자들의 피가 이 강토에 있나이다.”

그때, 계시의 책이 열렸다. 대한민국에게 주어진 마지막 선택. K-Classic 음악이다

 

4. 두물 머리 아리랑이 울려퍼지리

두물머리서 누군가 아리랑을 부르기 시작했다.백발의 늙은 권사였다. 청년이 따라 불렀다.다음은 아이들이 눈물로 노래했다. “지평리의 피가 헛되지 않게 하소서.” “복음의 통일이 이루어지게 하소서.” 이 땅은 더 이상 피 흘리지 않으리니, 어린양의 보혈이 민족을 덮었기 때문이라. 그리고 그날, 아리랑은 슬픔의 노래가 아니라

 

롯데 콘서트홀에서 영광의 노래가 되리라.

이제 오스트리아의 황금 홀에서 공연한 지 12년이 지난 2025년 9월 9일에 대한민국의 황금 홀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마지막 무대는 케이클래식 세계화답게 이탈리아 양자 피아니스트 Antonio의 반주에 맞추어 9년 전 카네기홀 초청 독창회 함께한 이후 한국에서 40주년 데뷔 음악회에 뜻깊게 통일 아리랑 ㆍ두물머리 아리랑을 연주한다.

 

임청화 교수는, 9월 9일 롯데 콘서트홀에서 감사와 사랑의 콘서트를 하게 되니 이는 ‘나의 힘이 되신 여호와여, 내가 주를 사랑하나이다(시19:1)’ 라고 늘 시편을 노래하며 많은 사람을 낙망 가운데서 희망을 갖게 하고 병든 자를 치유하는 기적을 일으키고 있는 필자의 카이로스의 시간이 도래한 것이라고 믿고 한민족의 분단의 한(恨)을 치유하는 심정으로 마지막 준비를 하고 있다.

 

에필로그: 두물 머리 강가에 하나 둘 연꽃이 피어나면 교회로 돌아온 음악 성도들을 나는 하나도 못잊을 겁니다. 카쟉스탄의 단군의 후예부터 하나둘 사랑이 커지리니 교회를 출발한 작은 불꽃들은 두물 머리 아리랑을 못 잊을 겁니다.

 

 어느덧, K-Classic의 리더가 되어 나는 지구촌 밥짓는 연기가 피어나는 마을마다 아리랑 꽃이 되어 피어나리 드보라 사사처럼 애국자가 되어 다니엘 총리처럼 지혜자들과 함께 양평의 기적을 이룬 음악가가 되리라 온 세상이 이념으로 어두운 사나운 밤 K-Classic 가곡을 통해 음악이 사랑으로 서로 소통이 되면 나도 축복의 통로가 되어 아리랑을 부르리라.

 

끝으로 임청화 교수는 이날 프로그램을 소개하며 2025년 9월 9일 여러분 모두를 롯데 콘서트홀로 초대를 한다. - 백석대 임청화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