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노후 공공건물, 안전사각지대 벗어나려면… IoT 관리 솔루션이 답”

“노후 건물 43%… 사고 위험 갈수록 커진다”
“10만여 소규모 공공건물, 인력 공백에 무방비”
“IoT 스마트 관리, 예고된 사고 막는 안전망으로”

지이코노미 유주언 기자 | 노후화로 안전사고가 급증하는 공공건물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전국적으로 10만여 곳에 달하는 소규모 공공건물이 인력 부족으로 방치되는 가운데, IoT 기반 스마트 관리 솔루션이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화재·정전·누수 등 사고를 실시간 감지해 대응하는 시스템이 확산되면서, 공공안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열리고 있다.

 

공공건물 43% ‘노후화’… 사고는 매년 증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오는 2029년에는 전체 공공건물 중 43.3%가 준공 30년을 넘는 노후 건물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노후화된 설비는 화재·정전·누수 등 각종 사고를 부르는 원인으로 지목된다. 실제로 2024년 발생한 공공건물 화재는 전년 대비 22% 늘어난 99건에 달했다.

 

인력 없는 건물 관리, 구조적 한계 뚜렷
그러나 인력과 예산은 턱없이 부족하다. 나라살림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대규모 공공건물 504곳 중 19곳은 관리 인력을 아예 두지 않았다. 소규모 건물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전국 10만여 곳에 달하는 주민센터·경로당·도서관·체육시설 등을 한 명이 수십 개씩 관리하는 경우도 흔하다. 이런 구조에서는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기 어렵다.

 

IoT 솔루션, ‘스마트 안전망’으로 부상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IoT 기반 스마트 건물관리 시스템이다. 건물 내 주요 설비에 센서를 달아 실시간으로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발생 시 즉각 알림을 보내는 방식이다. 서울 용산구청은 이미 주민센터 13곳에 이를 도입했고, 하반기에는 경로당 40여 곳으로 확대한다.

 

특히 에스원의 ‘블루스캔’은 공공기관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센서와 관제 기술로 화재·정전·누수 등의 징후를 즉각 포착해 사용자와 관제센터에 동시에 알림을 보내며, 야간·주말 등 인력이 부재한 시간에도 신속 대응이 가능하다.

 

전국 통합 관리·예산 절감 효과 기대
스마트 관리의 또 다른 강점은 원격 통합 관리다. IoT 센서가 모은 데이터를 관제센터에서 분석해 전국 공공건물의 운영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관리자는 전용 앱을 통해 수십 곳 시설의 상태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인력 부족 문제를 보완하는 효과가 크다.

 

공공건물 안전관리는 단순한 행정 문제가 아니다.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 노인이 머무는 경로당, 주민이 찾는 도서관과 체육관이 곧 일상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은 관리 인력 공백과 노후화로 위험이 상존한다. 이제는 ‘사고 후 땜질식 대책’이 아니라, 사전에 감지하고 막아내는 체계가 필요하다. IoT 솔루션이 그 해법을 제시한다. 기술은 이미 준비돼 있다. 문제는 실행과 의지다. 노후 공공건물의 안전망을 국가 차원에서 서둘러 구축하지 않는다면, 또 다른 ‘예고된 사고’는 시간문제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