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중간배당 건너뛴 고려아연, 해명했지만 ‘중요사항 누락’ 논란 증폭

공시로 충분했다”는 해명…투자자 불신만 키워
배당 확대 약속 뒤집고 중간배당 건너뛴 고려아연

 

지이코노미 유주언 기자 | 사상 최대 매출에도 불구하고 중간배당을 건너뛴 고려아연이 뒤늦게 해명에 나섰지만, 오히려 ‘자본시장법상 중요사항 공시 누락’ 의혹을 키우며 투자자 불신을 자초하고 있다. 회사 측은 자기주식 공개매수로 배당 재원이 소진됐다고 설명했으나, 이를 사전에 명확히 고지하지 않은 책임론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확산된다.

 

고려아연은 지난 22일 입장문을 내고 “자기주식 공개매수 과정에서 배당 재원이 이미 활용됐으며, 재무제표와 정관, 신고서를 통해 투자자들이 중간배당 축소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3년 평균 주주환원율이 75%로 목표치를 초과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같은 해명은 핵심을 비껴간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시서류 어디에도 ‘중간배당 생략 가능성’이 직접적으로 명시돼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보 제공 의무를 소홀히 한 셈이라는 비판이다.

 

논란의 근본 원인은 고려아연이 2023년부터 매년 중간배당을 실시하겠다고 공식 방침을 밝힌 뒤, 불과 2년 만에 스스로 약속을 뒤집었다는 점이다. 실제 회사는 지난해와 올해 초 각각 3000억 원대의 배당금을 지급했으나, 올해는 상반기 최대 실적에도 불구하고 중간배당을 건너뛰었다.
더구나 지난 3월 정기주총에서 임의적립금을 충분히 환입했다면 배당 여력이 있었음에도 약 1조6000억 원만 환입, 중간배당 가능 이익을 –4000억 원에 묶어둔 것은 고의적 회피라는 의심을 불러왔다.

 

금융감독원 기업공시 작성기준은 배당정책의 변화 가능성을 투자자 판단의 핵심 정보로 본다. 고려아연이 자기주식 공개매수 신고서에서 “지배구조, 재무구조, 사업내용 등에 구체적 변경 계획은 없다”고만 기재한 점은 ‘중요사항 누락’에 해당할 소지가 크다.
재계 관계자는 “금융당국과 검찰 조사 결과에 따라 고려아연이 법적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할 수 있다”며 “투자자 신뢰 회복은 이미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고려아연 사태는 단순히 ‘배당을 줄였다’는 문제가 아니다. 기업이 약속한 정책을 뒤집고, 이를 둘러싼 핵심 정보를 명확히 알리지 않았다는 점에서 신뢰의 문제다. 자본시장에서 신뢰는 곧 생명줄이다. 단기적 이익을 위해 공시의무를 형식적으로만 따를 경우, 장기적으로는 기업가치에 더 큰 타격을 남긴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