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유주언 기자 | 수협중앙회가 2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간 어선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총 246명이다. 이 가운데 155명(63%)이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아 사망하거나 실종됐다.
사고 유형을 보면 해상 추락이 39%로 가장 많았고, 목격자 없는 실종(24%), 구조물 충돌(14%), 양망기 사고(14%)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1인 승선 어선에서 구명조끼 미착용은 치명적 결과로 이어졌다.
수협은 내달부터 두 달간을 ‘구명조끼 구입비 지원 집중 홍보기간’으로 정했다. 어업 현장 방문, 모바일 알림, 홍보물 배포, SNS 활용 등 다방면의 홍보를 통해 어업인 참여를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노동진 수협 회장은 “구명조끼 착용은 가장 기본적인 안전 수칙이지만 아직 정착되지 않았다”며 “적극적인 지원과 홍보로 어업인 스스로 착용을 생활화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오는 10월 19일부터 2인 이하 승선 어선의 구명조끼 착용을 의무화한다. 수협은 이 제도의 조기 정착을 위해 연근해 어선원 대상 보급 사업을 서두르고 있다.
구명조끼 구매 비용의 80%는 국비(40%)와 지방비(40%)가 지원되며, 신청은 선적지 관할 수협에서 가능하다. 수협은 연말까지 전 어선 보급을 마치겠다고 강조했다.
바다는 한순간의 방심이 생사를 가른다. 구명조끼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그러나 여전히 현장에서는 “불편하다”, “익숙하지 않다”는 이유로 착용을 외면하는 목소리가 남아 있다. 수협의 이번 지원과 정부의 의무화 조치가 단순한 제도가 아니라 ‘안전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어업 현장의 실천이 그 답을 말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