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KT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확산되면서 정부가 민관 합동 조사단을 꾸려 본격 조사에 나섰다. 피해가 특정 지역과 시간대에 집중되고 있어 해킹 등 조직적 침해 가능성이 제기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최우혁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을 단장으로 한 민관 합동 조사단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민간 전문가 등으로 꾸려졌으며, KT 이용자 피해 사례를 중심으로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을 모색한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단순 대응이 아니라 근본적 대책 마련을 추진하겠다”며 “KT 등과 긴밀히 협의해 조사 결과를 공개하겠다”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는 사건 발생 직후 KT에 자료 보전을 요청하고 서울 서초구 KT 사옥에서 현장 조사를 진행했다.
KT는 지난 8일 KISA에 사이버 침해 사고를 신고했으며, 개인정보 유출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새벽 시간대 이뤄진 비정상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했고, 피해 고객의 금전적 손실이 없도록 조치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피해는 8월 말부터 경기 광명·서울 금천 등 일부 지역에서 집중 발생했다. 이용자 모르게 모바일 상품권 구매 등이 이뤄졌으며, 경찰에 접수된 피해 금액은 광명경찰서 3,800만원, 금천경찰서 780만원, 부천 소사경찰서 411만원 등 총 4,580만원에 달한다.
경기남부경찰청은 이번 사건을 병합 수사 중이며, 과기정통부 조사단과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국내 최고 수준의 전문가들과 함께 신속한 원인 규명과 피해 확산 방지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사건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고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어 이례적인 사례로 보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자문단도 별도로 꾸려 기술적·정책적 자문을 받으며, 조사 결과를 토대로 근본적인 사이버 보안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