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카카오톡이 인공지능(AI) 기반의 ‘에이전트 플랫폼’으로 전면 개편된다. 온디바이스 AI를 활용해 대화 맥락을 파악하고 일정 관리, 예약, 상품 구매 등 개인 맞춤형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정신아 카카오 최고경영자(CEO)는 23일 경기 용인시 카카오AI캠퍼스에서 열린 ‘if(kakao)25’ 개발자 콘퍼런스에서 이 같은 개편 전략을 공개했다. 정 CEO는 “AI는 공기처럼 우리 삶에 스며들었다”며 “카카오톡 5000만 이용자를 위한 AI 혁신을 준비했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이날부터 카카오톡 보이스톡 통화 녹음 및 AI 요약 기능을 순차 적용한다. 통화 녹음 파일을 제공하고 이를 텍스트로 변환해 요약·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녹음 데이터는 이용자 기기에만 저장돼 AI 학습에는 활용되지 않는다.
올해 안에는 ‘카나나 인 카카오톡’을 출시한다. 이는 △일정 관리 △정보 전달 △지식 검색 △예약 및 구매 추천 등 ‘개인비서형 서비스’를 목표로 한다. 이용자가 지시하지 않아도 대화 맥락을 분석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 기존 샵검색을 대체하는 ‘카나나 검색’을 도입해 채팅방 내에서 바로 AI 검색 결과를 확인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했다. 내달부터는 챗GPT를 접목한 기능도 추가된다.
이용자 불편을 줄이기 위한 기능 개편도 발표됐다. 채팅방을 주제별로 정리할 수 있는 ‘채팅방 폴더’가 신설되고, ‘안읽음 폴더’에서는 읽지 않은 메시지를 모아 요약해 알려준다. 메시지 수정 기능 역시 도입된다.
카카오는 카카오톡의 ‘오픈채팅탭’을 ‘지금탭’으로 개편해 숏폼 중심의 커뮤니티 기능을 강화한다. 이용자는 채팅방에서 숏폼 콘텐츠를 바로 공유하고 재생할 수 있다.
특히 자체 AI 모델 ‘카나나-키네마’를 기반으로 숏폼 자동 생성 기능을 준비 중이다. 이를 위해 카카오엔터테인먼트, JTBC, CJ ENM 등과 협력해 지식재산권(IP) 콘텐츠를 공급하고, 크리에이터 육성 및 수익 창출 모델도 마련한다. 숏폼 콘텐츠와 ‘선물하기’ 광고를 자동 연계해 창작자 수익성을 높이는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