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파월 “인플레·고용 모두 불안”…추가 금리인하 신중론 유지

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인플레이션과 고용시장 모두에서 위험이 공존한다며 추가 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23일(현지시간)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 상공회의소 행사에서 파월 의장은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은 상방, 고용은 하방 위험이 존재하는 매우 도전적인 상황”이라며 “위험이 없는 길은 없다”고 말했다. 다만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하를 지지할지 여부에 대해선 언급을 피했다.

 

연준은 지난 9월 회의에서 올해 첫 금리 인하를 단행, 정책금리를 4.0~4.25%로 낮췄다. 당시 파월은 “노동시장의 경고 신호에 대응한 위험 관리 차원의 인하”라고 설명했는데, 이번 발언은 그 기조를 다시 확인한 셈이다.

 

최근 경제 지표는 신규 일자리 창출 둔화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강화된 이민 단속으로 인력 공급마저 줄면서 노동시장 진단은 더욱 어려워졌다. 파월은 “공급과 수요 모두 둔화가 나타나 고용의 하방 위험이 커졌다”고 경고했다.

 

물가 측면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새로운 불확실성으로 꼽혔다. 그는 “관세 인상이 공급망 전반으로 확산되며 분기에 걸쳐 일회성 가격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며 “최근 물가 압력은 광범위한 수요 요인보다 높은 관세의 영향이 크다”고 평가했다.

 

연준 내부에서도 금리 경로를 두고 의견이 엇갈린다. 9월 점도표에 따르면 위원 다수는 연내 두 차례 추가 인하를 전망했으나, 일부는 한 차례 혹은 동결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날 미셸 보먼 이사는 “노동시장이 약화되는 만큼 과감한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으며, 트럼프 측근인 스티븐 마이런 이사 역시 1.25%포인트 인하를 지지했다. 반면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목표치(2%)를 웃도는 상황에서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정치적 압박도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폭 금리 인하를 요구하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지명한 리사 쿡 이사의 해임을 시도하고 있어, 연준의 독립성 훼손 우려가 제기된다. 관련 소송은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있다.

 

파월은 “2008년 금융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은 깊은 상처를 남겼다”며 “민주주의 국가에서 제도와 정책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는 시기, 공직에 있는 우리는 맡은 임무를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