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SCL 인공지능 혁신기술 첫 발표…AI 신뢰성 새 전환점

 

지이코노미 이창희 기자 | 인공지능이 대두되면서 이재명 정부도 AI 기술 개발과 데이터센터 건립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 가운데, 오픈AI의 'ChatGPT'와 구글의 '제미나이'가 대표적 프로그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오류가 발생하면서 사용자의 역량이 더욱 중요해지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2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오류를 방지하는 기술을 주제로 한 발표회가 열렸다.

 

발표회를 주최한 ㈜바월드는 코딩 없이 전문가 수준의 챗봇을 제작할 수 있는 AI 빌더를 개발한 기업이다.

 

최완 바월드 대표는 "인공지능은 단순한 기술을 넘어 인류의 미래와 사회적 가치를 변화시킬 중요한 전환점에 있다고 믿는다"며 "SCL은 거대 언어모델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인지 구조를 제시하고 있어 사회적 가치 창출로 이어지는 거대한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홍기 세계한인변호사협회 명예회장은 "오늘 인공지능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SCL 스트럭처 기술의 첫 발표회를 함께하고 있다"며 "기존 AI가 가진 환각과 기억의 한계를 뛰어넘어 제시되는 혁신은 기술 발전을 넘어 인류의 미래를 바꾸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축사를 전했다.

 

조승래 국회의원 역시 "인공지능 발전은 거대 언어모델로 대표되고 있지만 신뢰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한계가 존재한다"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기되는 SCL이 기존 모델의 한계를 보완해 국가 AI 경쟁력 제고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를 맡은 김명호 재능대학교 AI Microdegree 책임교수는 현재 인공지능 모델이 규모 확장에만 집중한 결과 신뢰도가 떨어진 문제를 지적하며, SCL 기술이 이를 해결하는 핵심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형 언어모델과 SCL을 구현한 'Chat Wonder'에 동일한 프롬프트를 입력해 결과를 비교하며, 환각 오류와 기억 누락 등 기존 모델의 불안정성을 극복한 사례를 소개했다.

 

이번 SCL 혁신기술 설명회는 AI 기술 분야에서 후발주자인 한국이 얼마나 정확성 높은 인공지능을 구현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자리였다. 발표회는 전 세계 AI 업계가 당면한 과제인 안정성과 책임성을 해결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김명호 교수는 "SCL은 아직 발전 중인 개념이지만, 인공지능이 신뢰받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라며 "정확하고 투명한 AI를 만들어가는 데 의미가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