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GS칼텍스의 오너일가 관계사 ‘일감 몰아주기’ 의혹이 쟁점으로 떠올랐다. 특히 허세홍 GS칼텍스 대표이사 사장의 증인 채택 여부가 관심사다.

29일 정치권과 업계에 따르면 국회 기재위 증인 신청 명단에 허 사장이 포함됐다. 국정감사는 오는 10월 13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되며, 16일에는 국세청 감사를 통해 GS칼텍스 관련 의혹이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7월 15일 임광현 당시 국세청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GS칼텍스가 중국 종속회사에 일감을 몰아주고, 이익을 조세 피난처인 싱가포르 소재 GS아로마틱스를 통해 위너셋으로 이전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싱가포르는 2008년 이후 상속세와 증여세가 폐지돼 자산 유보와 자금 이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았다"며 국세청의 감독이 사실상 어렵다고 지적했다.
위너셋은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18.67%, 허준홍 삼양통상 사장 10.11%, 허세홍 GS칼텍스 사장 7.67%, 허서홍 GS리테일 대표이사 7.49%, 허윤영 씨 6.25% 등 오너 4세가 90.15%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GS아로마틱스는 위너셋의 자회사로, GS칼텍스 석유화학 부문과 동일한 사업을 중국에서 진행하고 있어 오너일가 사익 편취 수단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GS칼텍스가 직접 수행했을 경우 얻을 수 있는 수익을 오너일가 관계사를 통해 분산·이전함으로써, 회사 수익성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한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의 전관예우 논란도 이번 국감의 쟁점으로 떠올랐다. 임 청장은 조사국장 퇴임 후 세무법인 ‘선택’에서 대표 세무사로 근무하며 2022년 10월 GS칼텍스와 1억7000만원 규모 자문 계약을 체결했다. 천하람 개혁신당 의원은 “설립 한 달 만에 규모 있는 계약을 체결한 것은 전관예우 가능성을 의심하게 한다”고 지적했다. 임 후보자는 전관 특혜와 업무 관여 사실이 없다고 부인했다.
국회 기재위는 각 의원실에서 간사실로 제출된 증인 신청 명단을 검토한 뒤, 여야 상임위 간사 협의를 통해 최종 증인 채택 여부를 결정한다. 다만 민주당이 기업 총수 국감 소집 ‘자제령’을 내려 허 사장의 출석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나온다. 기재위 관계자는 "APEC 등 외교활동 때문에 총수들이 국감에 출석하는 것이 어렵다는 내부 방침이 있어 증인 없이 국감이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GS칼텍스는 오너일가 일감 몰아주기 의혹과 허세홍 사장의 국감 출석 여부에 대해 별도의 입장을 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