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 우려가 금융시장을 압박하고 있다. 노동부는 셧다운 발생 시 주요 경제지표 발표를 중단하겠다고 경고했으며, 시장 일각에서는 신용등급 추가 강등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29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미 노동부는 셧다운 시 소비자물가·고용지표 등 핵심 경제지표를 제때 발표하지 못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오는 10월 3일 예정된 비농업고용보고서와 15일의 소비자물가지수(CPI) 공개가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둔 연준의 정책 판단에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셧다운 시한(30일 자정)을 앞두고 의회 지도부를 긴급 소집했다. 그는 합의가 무산될 경우 연방정부 직원들의 대규모 해고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정치권에 압박을 가했다. 과거에도 셧다운은 반복돼 왔으나, 이번에는 정치적 분열과 재정 건전성 악화로 충격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신용등급 전망도 도마 위에 올랐다. 무디스는 지난 5월 미국 신용등급을 Aaa에서 Aa1으로 강등한 바 있으며, 당시 정치적 불확실성이 심화될 경우 추가 강등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JP모건은 이번 셧다운 사태가 현실화되면 국채 수익률 급등과 기업 자금조달 비용 증가로 이어져 ‘꼬리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시장의 반응은 제한적이다. 채권 트레이더와 이코노미스트 다수는 신용등급 강등이 국채시장에는 ‘기술적 문제’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다. 과거 사례처럼 재무부의 개입과 시장의 회복력이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셧다운이 장기화될 경우 미국 고용과 기업 투자 위축은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있다. RSM의 조 브루수엘라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시장 참여자들은 워싱턴의 재정 소동에 이미 익숙해졌지만, 이번에도 사태가 신속히 해결되지 않으면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