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정길종 기자 |충청남도와 천안시가 공동 주최한 제3회 전국청년축제 ‘2025 피크타임 페스티벌’이 지난달 19일 천안 시민체육공원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축제는 1만 5천여 명의 청년이 참여하며, 일회용품을 최소화한 친환경 축제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았다.
이번 행사는 잔디밭 위에서 돗자리를 펴고 즐기는 ‘피크닉형 콘서트’로 운영됐으며, 친환경 스타트업 ‘트래쉬버스터즈’, ‘수퍼빈’등과 협업해 다회용기 사용을 의무화하고 일회용품 사용을 최소화했다.
또한 AI 재활용 체험존, 텀블러 지참 캠페인, 탄소 감축량 실시간 측정기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관람객이 탄소중립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특히 관람객의 다회용기 반납률이 90%에 달해, 청년 세대의 높은 환경 의식을 보여줬다.
축제 현장에서는 ‘버스팅 스코어(다회용기 사용으로 줄인 일회용품 수 시각화)’와 탄소 감축량 측정기를 통해 실시간 환경 기여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스마트 음수대를 활용해 텀블러와 다회용컵 사용을 장려했다.
여운창 청년축제기획단원은 “충남이 선포한 탄소중립특별도의 의미를 축제 속에서 실천해보고 싶었다”며 “관람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친환경 축제의 의미가 더욱 커졌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청년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도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장에는 하이브·CJ ENM·아모레퍼시픽·크래프톤등 주요 기업의 현직자가 참여해 취업 멘토링을 진행했으며, 퍼스널 컬러·메이크업 상담취업 스타일링 컨설팅부스는 조기 마감될 만큼 인기를 끌었다.
또한 AI 기반 인적성 검사, E-DISC 행동유형 진단, 휴머노이드 로봇 진로체험등 다양한 디지털 기반 일자리 체험 콘텐츠도 마련돼 참가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충남도 관계자는 “피크타임 페스티벌은 청년들이 즐기면서도 일자리 정보와 환경의 가치를 함께 배우는 축제였다”며 “앞으로도 청년 눈높이에 맞춘 지속 가능한 축제 모델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