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정태율 기자 | BNK금융지주 차기 회장 선임을 두고 국회와 금융당국에서 투명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제기한 BNK금융지주 차기 회장 후보 선임과 관련한 절차적 정당성 시비가 정치권과 당국의 이목을 끌고 있는 것이다.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BNK금융 회장 선임 절차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절차적으로 문제가 될 개연성이 있어 보인다”며 “절차의 적법성에 문제가 있을 시 수시검사에 돌입하겠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BNK금융이 지난 1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했는데, 후보자 접수 기간이 2일부터 16일까지 짧아 긴 추석 연휴를 고려하면 영업일 기준 실제 후보 등록 접수 기간은 단 4일 정도에 불과했다”며 금융지주 회장의 선출 절차가 깜깜이로 진행되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금융지주 회장이 되면 이사회들을 자기 사람들로 채우는 경향이 있다”며 “이럴 경우 소유주가 있는 제조업체나 상장법인과 별다를 게 없어 공공성 훼손의 우려가 있다”고 꼬집었다.
그룹 지배구조 개선과 내부통제 강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이행 등에 대한 정치권·당국의 주문이 거세지는 가운데, 회장 선임과정의 공정성 시비에 휘말린 빈 회장의 연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임추위 절차가 진행되는 도중에 공개적으로 제동을 건 것은 관치금융이라는 비판을 감수하면서도 지배구조 문제를 좌시하지 않겠다는 금융당국의 의지"라며 "회장 선임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이 문제시된 상황에서 공식적이고 구체적인 해명이 필요해 보인다"고 전했다.
국감 현장에서 금감원장이 이례적으로 금융사를 특정해 의혹을 제기하고 있지만, BNK금융 측은 절차상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말만 되풀이 할 뿐, 납득할 만 한 공식 입장은 나오지 않고 있다.
2017년 9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자회사 부산은행장을 역임한 빈회장은 2023년 3월부터 BNK금융지주 회장직을 맡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