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빗썸, 캄보디아 범죄조직 연루 의혹 ‘후이원그룹’과 145억원 규모 거래

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북한 해킹 조직과 동남아 범죄조직의 자금세탁 창구로 지목된 캄보디아 후이원그룹과 총 145억 원 규모의 코인 거래를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실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빗썸은 2021년부터 2024년 5월까지 후이원그룹과 총 145억922원 상당의 가상자산을 주고받았다. 특히 거래 규모는 2023년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2022년에는 사실상 거래가 없었지만, 2023년 4건(922만 원)에 불과했던 거래가 올해 들어 3,397건(124억 원)까지 급증했다. 올해도 5월까지 이미 2,079건, 21억 원 규모의 거래가 진행됐다.

 

거래된 가상자산 99.9%는 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였다. 테더는 가격 변동성이 낮아 범죄조직들이 불법 자금 세탁에 자주 활용하는 대표적인 암호화폐로 꼽힌다.

 

캄보디아 대기업으로 알려진 후이원그룹(Hui One Group)은 겉으로는 ICT·금융 사업을 표방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온라인 사기·도박 조직을 지원하는 플랫폼 ‘후이원보증’을 운영하며 국제 범죄의 허브로 악명을 얻고 있다.

 

또한 고객신원확인(KYC)을 하지 않는 가상자산 거래소 ‘후이원크립토’도 운영하며 북한 해킹조직 라자루스(Lazarus)와 동남아 범죄조직의 자금 세탁 통로로 활용돼 미국·영국 정부 제재 대상에 오른 바 있다.

 

블록체인 분석 기업 클로인트는 “미국·영국의 제재를 받고 있는 캄보디아 프린스그룹의 자금 역시 후이원그룹을 통해 세탁됐다”고 분석했다. 또 체이널리시스 역시 보고서에서 “후이원그룹은 글로벌 자금세탁의 핵심 허브 역할을 해왔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이러한 위험성이 국제사회에서 꾸준히 제기돼왔음에도 국내 거래소 규제는 거래소 재량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빗썸과 후이원그룹 간 거래가 장기간 방치됐다는 점이다.

 

빗썸은 미국 재무부가 후이원그룹을 ‘주요 자금세탁 우려기관(Major Money Laundering Concern)’으로 지정한 다음날인 올해 5월 2일에야 후이원 계열사인 후이원페이·후이원보증과의 입출금 거래를 제한한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