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정길종 기자 |[충남언론인협회 공동취재] 김태흠 충남도지사 취임 이후 충청남도의 광고비 집행 내역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집중 추궁을 받았다.
특히 TV조선 등 보수 성향 종편 채널에 대한 광고비가 최대 9배 이상 증가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도정 홍보 예산의 편향성과 불투명성을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2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충남도청 국정감사에서 여당 의원들은 충남도가 제출한 홍보 예산 집행 내역을 분석한 결과, 민선 7기 약 30억 원 수준이던 연간 광고비가 김태흠 지사 취임 이후 약 60억 원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고 밝혔다.
김성회 의원은 질의에서 “세부 내역을 보면 특정 매체에 광고비가 집중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며 “도민 세금으로 특정 정치 성향 언론을 지원하는 행태는 명백히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의원실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TV조선 광고비는 민선 7기 1억 2천만 원에서 김태흠 지사 취임 후 10억 9천2백만 원으로 약 9배 급증, MBN은 1억 원에서 4억 원으로, 채널A는 1억 4천만 원에서 3억 8천만 원으로 각각 2~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극우 성향으로 분류되는 인터넷 매체에도 취임 직후부터 광고비가 집행된 사실이 확인돼 세금 ‘몰아주기’ 의혹이 제기됐다.
여당 의원들은 “충남도의 홍보 예산은 지역 언론 활성화와 도민 대상 도정 전달이 목적이지만, 중앙 종편 중심의 집행은 도지사 개인 홍보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며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또한 “비판 보도를 한 언론엔 광고를 중단하고, 우호 매체에는 집중 집행하는 것은 정부광고법의 공정성 원칙을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태흠 지사는 “비판 언론에 대한 광고 중단은 정치적으로 악의적인 보도에 대한 대응”이라며 “광고비 집행은 도정 홍보 차원에서 이뤄졌을 뿐, 특정 매체 편향은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여당 의원들은 “법적 근거 없는 선택적 광고 중단과 특정 언론사 편중은 도민의 혈세를 사적 홍보 수단처럼 활용하는 행태”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충남언론협회 정연호 회장은 “도정 홍보 예산은 도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만큼, 집행 과정의 투명성과 공정성 확보가 중요하다”며 “언론사 역시 광고 수입에 의존하기보다 감시와 견제라는 본연의 역할에 더욱 충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