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영국 초정밀 검사장비 기업 테라뷰(TeraView)가 한국과 아시아 시장을 본격 공략하기 위해 코스닥 상장을 추진한다. 영국 기업의 코스닥 도전은 이번이 처음이다.
테라뷰는 19일 주한영국대사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장 추진 배경과 중장기 전략을 공개했다. 2001년 설립된 테라뷰는 테라헤르츠(THz) 기술 기반 검사장비를 개발하는 기업으로, 반도체·이차전지·자동차 등 첨단 산업 전반에서 활용되는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회사는 이번 상장에서 총 500만 한국예탁증서(KDR)를 공모한다. 희망 공모가는 7000~8000원이며 공모 규모는 350억~400억원 수준이다. 수요예측은 이달 13~19일 진행됐고 일반청약은 21~24일로 예정돼 있다. 상장 예정일은 다음 달 9일이며, 대표주관사는 삼성증권이다. 공모자금은 해외사업 확장과 연구개발(R&D)에 투입된다.
테라뷰는 투자자 권리 보호 논란을 막기 위해 한국과 영국 양국 법률 검토와 한국거래소·예탁결제원과의 협업을 통해 보호장치를 갖췄다고 설명했다. KDR은 상장 후 일반 코스닥 주식과 동일하게 거래된다.
돈 아논 테라뷰 대표는 “반도체·리튬이온 배터리 등 핵심 고객이 한국에 집중돼 있다”며 “한국 고객사와의 신뢰 구축을 위해 코스닥 상장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회사는 상장 이후 한국 내 생산 비중을 높이고 자동화 부품의 현지 생산도 강화할 계획이다. 한국을 아시아 허브로 삼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대만 등으로 거점을 확대하는 전략도 제시했다. 영국과 한국에 R&D팀을 배치해 고객 맞춤형 개발 속도를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실적은 성장 초기 단계다. 최근 회계연도(2024년 5월~2025년 4월) 매출은 76억원, 영업손실은 65억원이다. 다만 기술 상용화가 본격화되며 주문량이 지난 12개월간 약 100% 증가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내년 매출 251억원, 영업이익 35억원으로 흑자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력 제품군은 반도체 검사장비 ‘EOTPR’ 시리즈와 코팅 검사장비 ‘TeraCota’ 시리즈다. 반도체 검사장비 매출 비중은 전체의 60~65% 수준이다. 특히 회사는 엔비디아와 협력을 이어가고 있으며, 엔비디아가 EOTPR 장비를 칩 공급사들의 필수 검사장비로 권장한 바 있다고 강조했다.
테라뷰는 반도체 분야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국방·항공·가전·통신·의료 등으로 사업 확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