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정부의 ‘9·7 부동산 대책’ 이후 LH가 추진 중인 민간참여 공공주택 사업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건설사들도 속속 협약을 마무리하며 사업 참여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LH는 올해 상반기 공모한 3만150가구(총사업비 8조4,000억 원) 규모 민간참여 공공주택 사업 중 15건 가운데 11건의 협약을 체결했다. 남은 4건도 이달 내 마무리될 전망이다. 상위 시공능력평가 30위 이내 건설사 참여율은 약 80%에 이른다.
민간참여 공공주택은 LH가 토지를 제공하고, 민간 건설사가 자금조달·설계·시공·분양을 맡는 공동사업 방식이다. 민간은 토지 매입 부담 없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고, 입주자는 저렴한 분양가에 민간 브랜드 아파트 수준의 품질을 누릴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LH는 2014년 이후 이 방식으로 총 10만1,476가구를 추진했다. 올해만 1만8,542가구 착공이 예정되어 지난해의 두 배를 넘는다. 올해 LH 전체 착공 목표 6만 가구 중 민간참여 비중은 약 30%다.
하남 교산 ‘푸르지오 더 퍼스트’(경쟁률 263.3대 1), 부천 대장 ‘e편한세상 퍼스티움’(25.9대 1) 등 실수요자의 선호도도 높은 편이다.
최근 건설사들이 공공택지 직접 시행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가운데, LH 민간참여사업에는 오히려 건설사 참여가 늘고 있다. 건설경기 침체로 초기 부담이 적은 LH 사업을 선호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LH는 지난달 8개 블록 5,162가구(총사업비 1조4,000억 원) 규모 추가 공모도 진행했다. 이 물량 역시 남양주 왕숙2·부천 대장 등 수도권에 집중됐다. LH는 공공시행자 역할 강화를 위해 안전평가 배점 확대 등 사업자 선정 기준도 조정했다.
사업 규모 확대에 따른 공사비 부족 우려에 대해 LH는 협약을 통해 적정 공사비를 보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LH는 지난해 급등한 자재비를 반영해 기준 공사비를 약 15% 인상, 올해도 2.5% 추가 조정했다. 자금 조달을 돕기 위해 자금유동화 협조, HUG와의 보증상품 개발도 병행 중이다.
LH는 민간참여 공공주택에 층간소음 1등급, 제로에너지 4등급, 장수명주택 인증 등 주거혁신 기술도 도입해 공공주택 품질 개선 작업도 함께 추진 중이다.
LH는 정부의 9·7 대책에 따라 6만 가구 추가 추진계획을 조만간 확정할 방침이다. 오주헌 LH 공공주택본부장은 “민간참여사업을 통해 양질의 주택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