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8.0℃
  • 맑음강릉 12.1℃
  • 맑음서울 10.7℃
  • 맑음대전 10.7℃
  • 구름조금대구 9.2℃
  • 구름많음울산 12.2℃
  • 맑음광주 11.3℃
  • 구름많음부산 14.0℃
  • 맑음고창 9.7℃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8.2℃
  • 맑음보은 6.0℃
  • 맑음금산 8.6℃
  • 맑음강진군 9.5℃
  • 구름조금경주시 7.6℃
  • 구름조금거제 13.6℃
기상청 제공

광주시, ‘AI 160기업 시대’ 열었다… CES 혁신상까지 거머쥔 기술도시로 비상

- CES 혁신상 24개 광주 AI 기업 글로벌 존재감 강화
- 160여 개 기업 유치·AI 집적단지 완성 산업 기반 탄탄해져
- AI사관학교·대학원·NPU센터로 인재·기술·인프라 삼위일체 구축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시가 지난 5년 동안 추진해온 ‘AI 중심도시’ 전략이 기업 유치와 인재 양성, 기반시설 구축을 한 축으로 묶으며 산업 전반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CES 혁신상 연속 수상, 국산 AI반도체 기반 실증 확대, AI 집적단지 구축 등 주요 성과가 이어지면서 광주는 기술도시로서의 존재감을 빠르게 높이고 있다.

 

특히 CES에서 확인된 성과가 두드러진다. 최근 4년 동안 광주 기업 15곳이 최고혁신상 2개를 포함해 총 24개의 CES 혁신상을 받았고, 내년 개최되는 CES 2026에서도 지역 7개 기업이 최고혁신상과 혁신상을 잇달아 수상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교통 안전, 자율주행, 헬스케어, 디지털 후각 등 분야도 넓어지면서 광주 AI 기술의 활용 영역이 한층 다양해졌다.

 

기업 유치 흐름도 뚜렷하다. 광주시는 지금까지 349개 기업과 업무협약을 맺었고, 이 중 160여 개가 본사·지사를 실제 광주로 옮겼다.

 

기업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AI기업협력센터, AI창업캠프, 인공지능집적단지 등에서 실증·입주·기술 지원을 묶어 제공하며 성장 기반을 마련한 것이 효과를 낸 것으로 평가된다.

 

회사 규모에 따라 판로·투자 지원, 최소요건제품 개발 등 맞춤형 프로그램도 운영해 기업들의 매출·고용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AI·반도체 인재 양성 체계도 기업 성장과 결합되고 있다. AI사관학교, AI융합대학·AI대학원, 전남대 반도체특성화대학 등이 현장 중심 교육을 통해 실무형 인재를 꾸준히 배출하며 기업 수요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 구조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면서 기술과 실무 역량을 갖춘 인력이 지역 내 기업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있다.

 

한편 광주 AI 산업은 기업 간 협업을 중심으로 고도화가 진행 중이다. 산업협력 플랫폼을 기반으로 기술·데이터 공유와 공동 프로젝트가 활발해졌고, 특히 국산 AI반도체(NPU)를 적용한 실증 사업이 늘고 있다.

 

이노디테크의 교정 솔루션 고도화, 인트플로우의 스마트 축산 실증처럼 AI 기술과 반도체 기술이 결합된 프로젝트가 지역 기업의 경쟁력을 키우는 사례로 꼽힌다.

 

광주시는 AI 집적단지 1단계를 마무리한 뒤, 2026년부터 약 6000억 원 규모의 ‘AX 실증밸리’ 구축에 돌입한다.

 

지역 산업 곳곳에 AI를 접목해 시민 생활에서 직접 체감하는 서비스를 넓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국가NPU 컴퓨팅센터 설립과 국가AI연구소 유치 논의까지 이어지며 국가급 기술 인프라가 차곡차곡 쌓이고 있다.

 

최태조 인공지능산업실장은 “광주는 준비 단계를 지나 기업의 실제 성장과 고용까지 이어지는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5년간 다져온 기술력·인재·기업 생태계·기반시설이 서로 연결되면서, 광주는 테스트베드가 아닌 새로운 기술이 출발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