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삼양식품이 자사주 소각 의무화 논의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보유 자사주를 전량 매각하며 약 900억 원대 차익을 실현했다. 회사는 확보한 현금을 중국 공장 증설 등 대규모 설비투자에 투입할 계획이다.
삼양식품은 이달 20일 자사주 7만4,887주(지분 0.99%)를 주당 132만6,875원에 해외 기관투자가 3곳에 블록딜 방식으로 처분했다고 24일 밝혔다. 총 매각 대금은 994억 원으로, 대부분이 2022년 68억 원에 취득한 물량이어서 약 930억 원가량의 수익을 올렸다. 주가가 9만~10만 원대에서 130만 원대로 급등한 시점을 활용해 유동성 확보에 나선 셈이다.
삼양식품은 ‘재무건전성 제고’를 매각 배경으로 들었지만, 단기 상환 부담은 크지 않다. 내년 4월 만기 도래하는 회사채 500억 원은 보유 현금(3,129억 원)으로 충분히 대응 가능하고, 단기차입금 1,221억 원도 관리 가능한 수준이다.
문제는 설비투자 자금 수요다. 삼양식품은 향후 4년간 1,970억 원 규모 투자 계획을 세웠지만, 올해 9월까지 집행된 금액은 561억 원에 그쳤다. 여기에 중국 자싱 공장 증설에도 2,072억 원이 투입되고 있어 국내외 인프라 확충에만 3,000억 원 이상이 필요하다.
정치권에서 추진 중인 자사주 소각 의무화도 매각 결정의 배경으로 거론된다.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개정안은 기업이 취득한 자사주를 1년 이내 소각하도록 규정했고, 기존 보유분에도 6개월 유예기간을 두고 동일하게 적용한다. 기업 입장에서는 자본금 감소를 수반하는 소각보다는 처분을 통해 자금 유입을 확보하는 편익이 크다는 분석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들은 “주가가 10배 넘게 오른 시점과 정부의 자사주 소각 압박이 맞물리며 매각 타이밍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다른 관계자는 “정책 변수보다 중국·국내 설비투자에 필요한 자금 수요가 훨씬 컸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삼양식품 측은 “사업 확대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자사주를 처분했다”며 “확보한 자금은 생산능력 확대, 핵심 설비 개선, 차입금 상환 등에 순차 투입해 중장기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