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4.1℃
  • 구름조금강릉 12.3℃
  • 서울 6.2℃
  • 대전 6.5℃
  • 구름조금대구 10.5℃
  • 울산 12.4℃
  • 광주 7.5℃
  • 부산 9.9℃
  • 흐림고창 8.7℃
  • 구름조금제주 15.9℃
  • 흐림강화 6.0℃
  • 흐림보은 5.5℃
  • 흐림금산 7.5℃
  • 구름조금강진군 9.5℃
  • 흐림경주시 10.4℃
  • 흐림거제 9.9℃
기상청 제공

美 유통업계, 연말 쇼핑 앞두고 ‘AI 노출 전쟁’ 본격화

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미국 유통 대기업들이 연말 쇼핑 성수기를 앞두고 오픈AI 챗GPT, 구글 제미나이 등 생성형 AI에 자사 제품을 더 많이 노출시키기 위한 경쟁에 뛰어들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올해 미국의 연말 온라인 매출은 2530억달러로 전망된다. 기존에는 검색광고(구글·메타)가 주력 채널이었지만, 최근 소비자들이 챗봇을 통해 상품 설명을 듣거나 가격을 비교하는 사례가 급증하면서 광고 전략 자체가 바뀌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AI가 긁어갈 콘텐츠를 늘리기 위해 브랜드 블로그·레딧 글을 대량 생산하는 방식으로 ‘AI 최적화’에 나섰다. 일부 업체는 AI 스크레이퍼가 정보를 수집하기 쉽도록 별도 웹사이트까지 구축하고 있다.

 

생성형 검색 최적화 기업 에버튠.ai는 “예전에는 월 3~4건이던 블로그 게시물이 지금은 100~200건 수준을 요구받는다”며, AI 노출용 콘텐츠 제작비가 월 3000달러라고 밝혔다.

 

어도비애널리틱스 자료에 따르면 이달 AI 트래픽은 전년 대비 830% 폭증했다. AI를 통해 유입된 고객의 구매 확률은 기존 웹 검색 대비 30% 높았다. 아직 전체 트래픽에서 AI 비중은 1% 미만(센서타워 분석)이지만,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구매 의도가 훨씬 높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아마존의 AI 쇼핑봇 ‘루퍼스’ 이용 고객의 구매 확률은 60% 높았고, 월마트와 타깃도 챗봇 기반 쇼핑 기능을 탑재한 앱 출시 계획을 공개했다. 구글 역시 AI 모드 광고를 테스트하며 쇼핑 서비스 확장을 준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