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이승주 기자 | 광주광역시는 양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해 올해 추진하는 70개 사업에 대해 성별영향평가를 실시한다.
광주시는 6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성별영향평가위원회를 열고 올해 추진하는 정책사업의 성별영향평가 대상 과제로 35개 부서의 70개 사업을 심의·의결했다.
이번에 심의·의결된 주요 대상사업에는 ▲독거노인과 장애인 세대 위기 상황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독거노인 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사업’ ▲학생, 진로상담 교사에 대한 성별고정관념 예방 및 진로설계 지원을 위한 ‘청소년 성평등적 진로지원사업’ ▲소방공무원의 복지향상을 위한 ‘공동직장 어린이집 건립’ ▲안전취약계층 대상으로 생활안전 및 재난대응교육을 위한 ‘찾아가는 재난안전 교실 운영’ ▲화재취약 건축물의 화재안전성능 보강을 위한 ‘기존 건축물 화재안전 성능보강 지원 사업’까지 다양한 사업이 포함됐다.
성별영향평가는 법령이나 계획, 사업 등에서 남성과 여성의 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성별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분석하고 정책 개선에 반영해 남녀 모두가 평등하게 정책의 수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양성평등기본법(옛 여성발전기본법)에 따라 성별영향평가가 의무화된 2005년부터 해마다 주요 사업에 대해 성별영향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 4월부터 성별영향평가 대상사업으로 135개 세출예산 세부사업을 접수해 광주성별영향평가센터와 논의를 거쳐 일자리·4차산업·청년·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 86개 사업을 1차 대상으로 선정하고 해당분야 전문가와 컨설팅을 추진했다.
이에, 성별영향평가위원회는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70건의 사업을 올해 성별영향평가 대상사업으로 선정했다.
앞으로 전문가 검토 의견에 따라 사업에 성인지적 관점이 반영될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김종효 행정부시장은 “성별영향평가위원회가 선정한 70개 사업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며 “앞으로도 시민이 정책의 수혜를 고르게 받을 수 있도록 양성평등 광주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지난해 ‘아이낳아 키우기 좋은광주 조성’을 위해 구축한 임신·출산·돌봄 등 원스톱 통합정보제공센터인 ‘광주아이키움플랫폼’ 구축에 대한 성별영향평가를 실시해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나 편견을 일으킬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지 않도록 용어와 이미지 등을 수정했다.
‘빛고을국민안전체험관 건립’에 대해서도 평가를 실시로 안전체험관 내 여성을 위한 수유실과 화장실을 확충하는데 기여하는 등 시정 전반에서 성평등 문화 확산과 실현에 노력하고 있다.
올해 초에는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지역별 성평등지수에서 최고등급을 받는 성과를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