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음석창 기자 | 전남 여수의 석유화학산단에서 들려오는 소식이 심상치 않다. 공장 가동률은 떨어지고, 플랜트 신·증설 발주도 예년 수준에 한참 못 미친다. 현장 분위기를 가장 먼저 감지한 건 다름 아닌 일용직 근로자들이었다. 하루 벌어 하루를 살아가던 이들의 일감이 끊기기 시작하면서, 지역 전체가 고용 위기의 그림자에 휩싸이고 있다. 이런 상황을 더는 지켜볼 수 없다는 판단에 전라남도와 여수시가 공동 대응에 나섰다. 지난 28일 여수시 노사민정협의회에서 고용위기지역 지정 신청이 의결됐고, 전남도는 오는 30일 고용노동부에 공식 신청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여수의 고용 위기는 석유화학이라는 단일 산업에 지나치게 의존한 지역경제 구조와 맞닿아 있다. 특히 대형 플랜트 건설 사업이 일시 정지되면서 일용직 노동자들이 가장 먼저 일터를 잃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전남도는 이를 단순한 경기침체가 아닌 ‘구조적 고용위기’로 진단하고 있다. 전남도와 여수시는 ‘여수 석유화학 고용위기대응 협의체’를 구성해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 협의체에는 노조, 기업, 시민단체, 행정기관이 모두 참여해 해법을 찾고 있다. 30일 제출될 고용위기지역 지정 신청서에는 특히 일용근로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고용노동부 목포지청(지청장 이재희)은 임금 체불로 고소된 건설업자 A씨를 근로기준법 위반 혐의로 체포했다고 28일 밝혔다. A씨는 출석요구에 여러 차례 불응한 끝에 결국 체포됐다. A씨는 목포에서 건설업을 운영하며, 지난해 4월부터 몇 달간 일용직 근로자 7명의 임금 약 4100여만원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를 받고 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A씨는 출석요구에 7차례나 불응했으며, 결국 법원에서 체포영장이 발부돼 신병을 확보했다. 조사 과정에서 A씨는 임금 미지급 사실을 자백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금 체불 문제는 건설업 경기 위축과 맞물려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해 임금 체불액은 사상 처음으로 2조원을 넘어섰다. 이는 2023년 1조7845억원에서 14.6% 증가한 수치로, 총 2조448억원에 달했다. 정부는 악의적이고 상습적인 체불 사업주에 대해 엄정 대응하고 있으며, 체포영장 발부와 구속수사 원칙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이재희 고용노동부 목포지청장은 "체불 금액에 관계없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책임을 묻겠다"며 "정당한 이유 없이 출석에 불응하거나 상습적으로 체불하는 사업주에 대해서는 체포영장과 구속영장 신청 등 강제수사를 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