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팔봉리, 한국 조각의 뿌리에서 다시 묻다
지이코노미 정길종 기자 |충북 청주시 남이면 팔봉리, 조각가 김복진의 고향에서 한국 조각의 성지를 꿈꾸다 2025년 7월 16일, 햇볕이 이글거리는 정오 무렵. 충북 청주시 남이면 팔봉리에는 특별한 움직임이 있었다. 사람들은 조용히 마을 어귀를 지나 김복진 생가로 향했고, 그곳에는 간이 의자와 현수막, 그리고 하나의 질문이 기다리고 있었다. “팔봉리, 한국 조각의 성지… 가능한가?” 이날 포럼은 단순한 학술 발표가 아닌, 주민과 예술가, 평론가, 작가 등이 한자리에 모여 팔봉리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이야기하는 타운홀 형식으로 진행됐다. 따뜻한 분위기 속에서, 이 마을이 예술과 삶이 맞닿은 현장이라는 믿음이 곳곳에서 느껴졌다. “한국 조각의 문을 연 마을, 성지가 되어야 할 이유” 문학평론가 유영선 씨는 “성지란 아무 데나 붙일 수 있는 말이 아니다”라며, “김복진 선생은 한국 조각의 선구자이며, 팔봉리는 그 시작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의 정신이 지금도 살아 숨 쉬는 유일한 공간”이라며 성지 조성의 정당성을 역설했다. 주민들과 마을 이장, 예술인들이 둘러앉아 마이크를 돌아가며 나눈 이야기에는 공통된 메시지가 담겨 있었다. 팔봉리는 단지 과거를 기리는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