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별세 후 첫 경영 행보로 전사 미래 디자인 전략회의를 주재했다. 기술 융·복합 시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아우르는 역량으로 디자인 경영을 한 차원 높이겠다는 의지다.
삼성전자는 이재용 부회장이 서초구 우면동에 있는 서울 R&D 캠퍼스를 찾아 디자인 전략회의를 열고 미래 디자인 비전과 향후 추진 방향 등을 점검했다고 12일 밝혔다.
디자인 전략회의는 삼성전자가 2016년부터 사업부별로 진행해온 회의다. 올해는 처음으로 이재용 부회장이 직접 전사 통합 디자인 전략회의를 주관했다. 이는 기술 변화가 빨라지면서 제품과 서비스의 융·복합이 빨라지는 때에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통합 디자인 역량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 부회장을 포함해 김현석 삼성전자 CE 부문 대표이사와 고동진 IM 부문 대표이사, 한종희 VD 사업부장, 노태문 무선사업부장 등 세트 부문 경영진과 승현준 삼성리서치 연구소장, 이돈태 디자인경영센터장 등이 참석했다.
이 부회장은 가정에서 운동, 취침, 식습관 등을 관리해주는 로봇과 서빙, 배달, 안내 등이 가능한 로봇 등을 회의에서 직접 체험했다. 개인 맞춤형 콘텐츠 사용이 가능한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 시제품도 만져봤다.
그은 "디자인에 혼을 담아내자. 다시 한 번 디자인 혁명을 이루자. 미래를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자"며 "도전은 위기 속에 빛난다. 위기를 딛고 미래를 활짝 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는 진 리드카 버지니아대학교 다든 경영대 부학장과 래리 라이퍼 스탠퍼드대학교 디스쿨 창립자 등 글로벌 석학의 인터뷰 영상으로 최신 디자인 트렌드와 혁신 사례도 공유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제품 성능 만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다는 판단에 1996년 디자인 혁명을 선언했다. 이후 디자인 경영 센터를 설립하고 글로벌 디자인 거점을 확대했다. 디자인 학교(SADI) 설립으로 인재 발굴과 양성도 추진해왔다.
현재 서울과 미국 샌프란시스코, 영국 런던, 인도 뉴델리, 중국 베이징, 일본 도쿄, 브라질 상파울루 등 7곳에 글로벌 디자인연구소를 두고 있다. 1500여명의 디자이너가 근무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