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유주언 기자 |한화시스템이 북한 장사정포 위협에 맞선 ‘수도권 최후의 방패’로 불리는 한국형 아이언돔(LAMD)의 핵심 ‘눈’ 역할을 맡는다.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하는 장사정포 요격체계 레이다 개발 사업의 주관업체로 선정돼, 1,315억 원 규모의 방공망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
북 장사정포 막을 요격체계 핵심… 2028년까지 체계개발 착수
한화시스템이 맡게 된 장사정포 요격체계 레이다는 수도권을 겨냥한 북한의 다연발 장사정포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무기다. 국방과학연구소가 주도하는 이 사업은 2028년 11월까지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며, 한화시스템은 총 1,315억 원 규모의 시제 계약을 체결했다.
동시 다발 위협 개별 식별… 이스라엘 ‘아이언돔’ 능력 넘본다
요격체계의 ‘눈’으로 불리는 이 레이다는 좁은 상공에 동시에 날아드는 수백 개의 포탄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추적해야 하는 고난도 기술이 요구된다. 한화시스템은 이스라엘의 아이언돔보다 많은 표적을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의 고성능 레이다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천궁 이어 LAMD까지… 중동 등 수출 라인업 강화
이번 사업은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 천궁-II와 장거리용 L-SAM에 이은 또 하나의 수출 유망 품목으로 기대된다. 박혁 한화시스템 DE 사업부장은 “한화시스템은 지대공 유도무기용 레이다뿐 아니라 구축함과 KF-21 전투기에도 핵심 레이다를 공급하고 있다”며, “글로벌 수출 확대를 위한 레이다 기술 고도화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